오래 전, 은사님 개인전에서 마음에 드는 그림 한 점을 만난 적이 있습니다. 빛바랜 담배 간판이 흰 벽에 걸려 있고, 처마 아래엔 노란 벤치가 놓여 있었지요. 휘돌아선 골목 어디선가 장정 한둘이 담배를 사러 나올 것만 같은 낯익은 풍경이었습니다. 제 어린 날을 상기시키는 담배포가 있는 풍경이었지요. 예상하지 못했던 지점에서 기억의 이동선이 천천히 뒤로 되감기는 순간을 경험했습니다. 아련한 감동과 먹먹함에 오래 그림 앞에 머물렀습니다.

시골에 살 때 우리집은 담배포를 했습니다. 담배와 잡화를 파는 구멍가게였지요. 가게는 신작로를 사이에 두고 본채와 마주하고 있었습니다. 다래 담배집. ‘달’이 뜨고 ‘내’가 흐르는 ‘다래’라는 마을 이름을 따라 사람들은 가게를 그렇게 불렀습니다. 식구들끼리는 살림집인 본채와 구분하기 위해 ‘점빵’이라고 불렀습니다. 전매청에서 허가를 내주는 담배포는 한정되어 있었습니다. 마을 이십 리 안팎에 담배포가 하나 있을까 말까할 정도로 담배 가게가 귀한 시절이었습니다. 자연스레 다래 담배집은 이웃 동네끼리의 정보 집합소 역할을 했습니다. 웬만한 소식은 다래 담배집에서 퍼졌다가 다시 모이곤 했습니다.

오일장이 서는 날이면 담배포는 그야말로 불이 났습니다. 아직 십 리나 남은 읍내 장터, 신작로를 지나던 장꾼들은 입 동무라도 삼으려고 담배 한 두 갑씩을 사갔습니다. 귀가하는 해거름에는 너나 할 것 없이 보루 째 사들고 가곤 했습니다. 새마을, 청자, 태양, 거북선 그리고 엽초.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그 담배 이름들을 사람들은 부지런히도 찾았습니다. 제 눈에는 라면땅, 크라운 산도, 눈깔사탕이 더 맛있어 뵈는데 어른들은 그런 것은 거들떠보지도 않았습니다. 오로지 네모난 곽에 스무 개씩 하얀 막대처럼 담긴 담배만을 원했습니다. 어린 제게 그건 불가사의 세계였습니다. 호기심에 골방 장롱에 숨어들어 담뱃불을 붙여 본 것은 담배포집 딸로서 당연히 겪은 에피소드이긴 합니다. 글로 회상할 만큼 극적인 내용이 아닌 게 아쉽다고나 할까요.

산골에 추위가 온다는 신호는 담배포 간판 흔들리는 소리로 시작되었습니다. 겨울이 깊어가는 내내 그 소리는 크레센도로 변주되곤 했습니다. 세찬 바람 골을 따라 담배 간판은 쇳소리를 내며 울부짖었습니다. 휘익휘익 피리릭피리릭. 무섭고 떨리는 소리인가 싶다가도 한편으론 먼 곳의 피리소리 같은 특이한 내음이 묻어나곤 했습니다. 익숙한 공포와 생경한 음색이 만들어내는 그 소리에 한껏 귀가 쏠리곤 했습니다. 어린 귀에 박히는 복잡 미묘하고도 이국적인 그 소리가 싫지는 않았습니다.

가을걷이를 끝낸 남정네들은 담배포가 있는 가겟방으로 모여들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몹시 좁았을 그 공간이 사랑방 구실을 했습니다. 무료한 겨울이 어서 빨리 지나기를 바라면서 장정들은 화투장을 두드리고, 장기알을 주고받곤 했습니다. 제 귀는 어른들의 그런 소요보다 담배간판 흔들리는 소리에 고정되곤 했습니다. 공포와 매혹이 공존하는 칼바람 연주 속에서 지금으로 치자면 얼음 왕국 같은 조금은 차갑고 엉뚱한 동화적 상상의 나래를 펼치곤 했지요. 아버지 등 곁에 꼽사리로 끼어 담배 간판 소리에 귀를 열어놓고 있다 보면 어느 새 가겟방은 자욱한 담배연기로 차오르곤 했습니다.

마을은 댐으로 수몰될 예정이었고, 너무 이른 나이에 고향을 떠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도시에 버려진 저는 한동안 우리집 담배포가 몹시 그리웠습니다. 그 겨울, 담배 연기 가득했던 점빵의 번잡스러움도, 빈둥거리거나 바지런했던 마을 장정들의 거친 숨소리도 모두 떠올랐습니다. 북풍이 지날 때마다 쇳소리를 내며 울부짖다 이내 피리 소리로 바뀌던 간판 소리는 그 리듬까지 기억날 정도였습니다.

김살로메소설가
김살로메소설가

인터넷 서핑을 하다보면 옛날 물건들을 소개하는 사이트를 만납니다. 그곳에서 추억 서린 청자, 새마을, 거북선 같은 담배를 만나면 슬그머니 미소가 그려집니다. 드물게 70년대 풍 붉은 담배포 간판이라도 눈에 띄면 옛친구를 만난 것 같은 아련함에 오랫동안 눈길이 머물곤 합니다. 이 글을 정리하다 말고 담배포가 있던 신작로 풍경이 궁금했습니다.

오랜만에 고향마을에 들렀습니다. 옛사람 떠난 자리에 댐 물만 가득합니다. 댐 어귀를 서성입니다. 선착장 오른쪽으로 집터 위치를 가늠해 봅니다. 늪으로 변한 저 땅 어디쯤에 신작로와 담배포와 살림집이 있었지요. 만수위가 되면 그 늪조차 물속에 잠겨들곤 한다지요. 먼발치로 옛집을 떠올리며 그 겨울 담배 간판의 시간으로 다시 연결합니다. 뒷산을 넘어온 황소바람이 담벼락을 휘돌아 간판을 깨웁니다. 이내 담배, 라는 빨간 글씨가 겹쳐지며 쇠 간판이 흔들리기 시작합니다. 공포와 매혹이 연주하던 그 유년의 무대로 서서히 빠져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