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림사 백팔 탑 뒤로 보이는 천년 와불산. 도림사는 상주시 서곡 1길 96-43에 위치해 있다.
도림사 백팔 탑 뒤로 보이는 천년 와불산. 도림사는 상주시 서곡 1길 96-43에 위치해 있다.

일명 육산이라 불리는 백원산 국사봉 기슭, 상주 시내가 지척에 보이는 곳에 도림사가 자리 잡고 있다. 고려시대에 창건되었지만 모두 훼손되어 변변한 법당조차 없는 절을 자용, 탄공, 법연 세 비구니 스님이 재건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마을을 지나 비탈길을 오르면 일주문 대신 600여 개의 장독이 먼저 반긴다. 오래된 독에는 건강한 시간들이 익어가며 향수에 젖게 한다. 탄공 주지 스님은 전통 사찰음식의 맥을 잇기 위해 사찰음식과 장 담그기에 열정을 쏟는 분이다.

해마다 정월이면 3000장의 메주로 장을 담근다고 하니 그 정성과 규모가 놀랍다. 외부 시주에 의존하지 않고 스님들이 손수 된장과 간장을 빚어 판 수익금으로 대웅보전을 비롯하여 지금의 불사를 이루었다고 하니 존경스러울 수밖에 없다. 스님들의 정성어린 노동력이 곧 수행이다.

절 옆으로는 한양 옛길이란 안내판이 무료하게 서서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다. 옛날 과거를 보러가는 선비들이 앞산의 천년 아미타부처님 와불을 향해 소원을 발원하고 도림사에서 불공을 드리면 그 기돗발이 영험했다고 한다. 그들이 금의환향하여 다시 도림사에 시주를 하였으니 도림사의 위세는 자연히 커질 수밖에 없었으리라.

도림사는 고즈넉한 산중의 정취를 고수하기보다 대중과 소통하는 사찰, 좌선의 수행보다 세상과 하나가 되는 도량을 꿈꾸고 있다. 행여 자본의 위력에 초심을 잃지 않기를, 몸소 사랑과 자비를 베풀며 대중과 더욱 친숙해지는 멋진 사찰로 거듭나기를 소원하며 나는 경내로 들어선다.

대웅보전을 중심으로 크고 작은 전각들이 산재해 있다. 와불산이 잘 보이는 와불전 앞에 108탑 불사가 눈길을 끈다. 한낮의 열기가 후끈거리는데 어디선가 염불소리가 들려온다. 운이 좋다 생각하고 법당으로 달려갔더니 빈 법당에는 녹음된 염불소리가 홀로 더위를 쫓으며 맞는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큰 유리 안에 봉안되어 있고 그 주변으로 작은 불보살들이 가득 차 있으며 수미단 풍경도 이색적이다.

법당까지 좇아 온 더위를 업고 백팔 배를 시작한다. 갑자기 찾아온 어머니의 치매 증상으로 몸과 마음이 무거운 터라 법당이 더없이 안온하다. 절을 해도 가슴 한 켠에이는 찬바람은 사라지지 않는다. 부모를 뵙고 오는 날이면 허무함으로 힘들었다. 효를 위한 약속들은 언제나 일상에 쫓겨 밀려나기만 했다. 결국은 예기치 못한 사태 앞에서 큰 불효를 한 것을 깨닫는다.

온몸은 금세 땀으로 젖고 절을 할 때마다 좌복 위로 뚝뚝 땀이 떨어진다. 눈물도 떨어진다. 불경에 이르는 부모은중경의 한 구절이 떠오른다. 어머니가 자식을 낳을 때 3말 8되의 응혈을 흘리고 8섬 4말의 혈유를 먹인다고 한다. 이와 같은 부모의 은덕을 생각하면 자식은 양쪽 어깨에 부모를 업고 수미산을 백천 번 돌더라도 그 은혜를 다 갚을 수 없다는 부처님의 말씀이 이제야 가슴을 후벼 판다.

젊은 날 그토록 멀게만 느껴지던 말씀들이 이토록 절절할 줄이야. 흐르는 눈물은 부모에게 무심했던 스스로에 대한 속죄와 회한이리라. 삭아서 푸석거리는 시간을 안고서도 어머니는 젊은 우리보다 의연하시다. 자식들이 걱정할까 혼자서 병원을 다니며 약을 복용하는 모습은 평생 나를 아프게 할 것이다.

조낭희 수필가
조낭희 수필가

삶의 뒤안길만큼은 아름답고 평화롭기를 바랐다. 신은 왜 인생의 말년을 한평생 살아온 삶으로 평가받도록 만들지 않았을까. 긍정적이고 강인했던 어머니에게 이런 시련쯤은 비켜갈 줄 알았다. 요양사의 도움을 받는 시어머니와 분노조절 장애가 나타나 작은 일에도 화를 내신다는 아버님의 증상까지, 어디를 둘러봐도 아름다운 노후는 보이지 않는다. 열심히 살아온 당신들의 서글픈 뒤안길을 지켜보는 일만큼 잔인한 게 있을까. 머지않아 그 씁쓸한 바람들은 방향을 돌려 내 쪽으로 불어오리라.

법당을 나와 멀리 서쪽하늘 아래 열반에 드신 와불 형상의 부처님을 바라본다. 도시는 열기에 눌려 꿈쩍도 않고 극락정토를 지키는 아미타부처님은 폭염 속에서도 한량없이 편안하다. 삶이 짊어져야 할 무게와 고통이 없는 세계, 그 머나먼 나라도 지척에 있다. 자연의 순리에 따라야하는 것들 앞에서 불안해하거나 초조해 하기보다 초연해져야 하리라. 누구나 업고 가야할 세상의 마지막 짐들, 당신들의 짐이 좀 더 가볍기를 바라며 와불을 향해 합장한다.

시원한 계곡에 발을 담그기 위해 내려가다 옛 양반들이 풍류를 즐겼을 법한 고옥 하나 만난다. 도림원이란 현판에 용기 내어 문을 열었더니 관세음보살 부처님과 수많은 불보살들이 봉안되어 있다. 눅눅한 나무 냄새가 안겨드는 법당에는 오랜 향수와 그리운 시간들이 숨을 쉬고 있다. 어머니의 자궁 같은 공간에 나를 맡기고 절을 한다.

어머니의 애틋한 여름은 속절없이 가고 있는데, 이 잠깐의 여유조차 사치로 느껴진다. 야윈 슬픔들 앞에서 속수무책 무릎 꿇지 않기를, 잃은 것에 안타까워하기보다 남은 시간이 있음에 감사하자고 다짐한다. 계곡물이 토닥토닥 법문을 들려주며 흐른다. 앉아 있어도 저절로 기도가 자랄 것만 같은 곳, 나는 또 시간에 떠밀려 자리를 떠야 했다.

천년 와불 하나 묵직하게 가슴에 안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