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창구 대구가톨릭대 명예교수·국제정치학
변창구 대구가톨릭대 명예교수·국제정치학

대통령·국회의원·자치단체장 등 힘 있는 정치인들의 비극적 종말이 반복되고 있다. 권력형 비리나 성범죄로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가 하면, 교도소에 수감되어 권력무상을 실감하면서 회한의 시간을 보내는 이들도 있다. 권력에 취해서 권력의 야만(野蠻)과 비정(非情)을 진즉 깨닫지 못하고 오만(傲慢)했으니 자업자득(自業自得)이다.

권력의 오만은 어디에서 오는가? 신경심리학자인 로버트슨(Ian Robertson)은 그의 저서 ‘승자의 뇌’에서 “권력을 가지면 뇌가 변한다.”고 했다. 공감능력은 떨어지고 자기중심주의가 강해지면서 합리성이 약화된다는 것이다. 정치인들이 권력을 잡으면 ‘목에 힘이 들어가고’ 권력에 취하면 ‘이성을 상실’하는 이유다.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은 최초로 성희롱변호에 승소한 자칭 페미니스트였지만, 권력을 갖게 되자 ‘성추행’으로 피소되었고 스스로 생을 마감하였다. 가톨릭신자인 문재인 대통령은 교회의 가르침인 ‘내 탓’은 인정하지 않고 ‘네 탓’만 한다. 취임식에서 “잘못한 일은 잘못했다고 말씀드리겠다.”고 약속해 놓고서는 잘못이 드러나면 전 정권 탓이고 야당 탓이라고 한다. 게다가 페미니스트를 자칭하는 대통령이 성추행 가해자에게는 조화를 보내고 피해자에게는 위로의 말 한마디가 없다. 전형적인 ‘두 얼굴을 가진 야누스(Janus)’의 이중성이다.

권력은 마약처럼 중독성 강한 ‘도파민(dopamine)’을 상승시킨다. 정치인이 도파민에 중독되면 이성을 잃고 괴물이 된다. 괴물의 출현은 비극의 시작이다. 때문에 정치인 스스로가 괴물이 되지 않으려고 노력해야 한다. 영국속담에 “오만이 앞장서면, 치욕이 뒤따른다.”고 했다. 정치인은 ‘권력에 내재하는 악마적 속성’을 항상 경계하고 절제하지 않으면 안 된다. 특히 권력이 클수록 그 주변에 모여드는 예스맨(yes man)들이 부르는 용비어천가는 정치인의 이성을 마비시키기 때문에 반드시 ‘악마의 대변인’을 곁에 두고 그의 고언(苦言)을 경청해야 한다.

하지만 인간은 나약해서 언제든지 마약의 유혹에 빠질 수 있다. 아부꾼들에 둘러싸여 도파민에 중독된 권력은 스스로 마약을 끊기 어렵다. 때문에 권력에 대한 견제와 감시만이 괴물의 출현을 막을 수 있다. 바로 여기에 야당과 지식인의 무거운 책임이 있다. 야당은 수적 열세만 탓하지 말고 정부여당을 제대로 견제해야 미래가 있다. 정의로운 정도(正道)정치는 ‘양이 아니라 질’이다. 자기중심적인 ‘이기적 권력’과 사회중심적인 ‘이타적 권력’이 충돌할 때 유권자의 선택은 자명하다.

또한 여론형성자로서 ‘지식인의 비판적 민감성’이 살아있어야 권력의 오만을 통제할 수 있다. 권력과 야합한 어용언론인, 권력해바라기가 된 어용교수는 무늬만 지식인이지 권력의 시녀일 뿐이다. 지식인의 사회참여는 스스로 권력이 되기보다는 ‘권력과의 비판적 거리’를 유지할 때 더욱 빛난다. 지식인이 권력이라는 마약을 즐기면서 이를 ‘앙가주망(engagement)’이라고 한다면 ‘소가 웃을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