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산업사회는 지금까지 대량생산, 대량유통, 대량소비로 발전해왔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각 산업에서 생산시스템은 자동화되고 대량유통과 소비를 담당하는 백화점, 마트 등도 규모의 대형화를 경쟁하는 길을 걸어왔다. 하지만 이제는 이처럼 대량화나 자동화로 비용을 절감하거나 효율성을 증대하는 것만으로 성장할 수 있던 시대는 지났다. 오직 혁신과 창의를 기반으로 새로운 소재, 기술, 제품을 내어놓아야만 한 발자국 앞서 나아갈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과거에는 어디서나 흔하게 볼 수 있는 표준화되고 다 같이 비슷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정상이었지만, 이제는 개성적이고 다양성이 보장되며 조금이라도 남과 다른 소수를 선호하며 작지만 강한 것이 아름답게 여겨지는 시대가 된 것이다. 이는 유독 경제부문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현상도 아니다. 인구사회구조도 인간의 수명이 점차 연장되는 한편 저출산이 일반화되면서 무조건 남녀가 흔히 ‘결혼적령기’를 맞이하면 어떻게든 결혼을 하고, 결혼한 부부라면 아이가 있어야만 했으며, 노부모를 모시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던 시대는 교과서에나 실리는 상황이 되었다. 은퇴 이후 ‘황혼이혼’이라는 말조차도 생소하지 않다. 이러한 시대적 사회현상이 1인 세대 또는 1인 가구의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전국적으로 총인구가 늘어나지 않고 있는데도 총 세대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세대수의 증가는 결혼으로 인한 분가도 있겠지만 청년, 고령자를 불문하고 1인 세대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최대 원인이다.

이처럼 1인 가구 속칭 ‘싱글족’이 증가하는 것은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것이 아니라 세계적인 현상이다. 인구 대국인 중국의 경우에는 내년쯤이면 1인 가구가 1억 명에 근접한 9천2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중국의 총인구(약 14억4천만 명) 대비 1인 가구 비율은 약 6.4% 정도에 불과하나, 이 수치는 우리나라 인구 전체의 2배가 넘는다. 중국의 1인 가구의 존재감은 그만큼 엄청난 것이다. 일본도 현재 총 5천300만 가구 가운데 3분의 1이 1인 가구로 파악되고 있으며 2035년경에는 이 비율이 40%에 달할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2020년 현재 총 2천34만 가구 가운데 1인 가구는 약 30.3%에 해당하는 616만 가구로 추계되고 있다. 경북도는 전국 평균보다도 높아 전체 110만 가구 중 37만 가구가 1인 가구로 약 33.4%를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사회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대체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됨에 따른 인구구조 요인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그 외에도 소득 격차가 확대되는 등 청년들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결혼연령이 점차 늦어지는 만혼율의 증가, 과거와 같은 백년해로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도 모를 정도로 증가하는 이혼율 등 인구요인 외적인 요소를 꼽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공통되는 1인 가구의 증가 요인은 대체로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인간이 장수하게 되면서 1인 생활의 확률이 높아졌다. 1인 생활자 가운데 상당 부분은 이혼이나 사별로 혼자가 된 경우가 많다. 일본의 사회학자 우에노 치즈코(上野千鶴子) 리츠메이칸 초빙교수는 ‘누구나 혼자인 시대의 죽음’이라는 저서에서 인간이 장수할수록 홀로되기 쉬우며,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누구나 마지막에는 혼자가 된다면서 고령자가 1인 생활을 어떻게 실용적으로 해낼 것이며, 어떻게 체면을 차리고 우아함을 유지할까를 다루기도 하였다.

둘째, 다양한 가치관과 생활방식이 상호 인정되면서 홀로 생활하는 것이 전혀 특이하지 않게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결혼적령기에 혼자 생활하고 있는 ‘노총각, 노처녀’가 큰 문제가 있는 사람으로 치부되기도 하였다. 사별하여 홀로 생활하는 ‘일편단심’의 고령자에게도 그것을 그대로 보지 않고 ‘홀아비, 과부’와 같은 표현으로 무언가 부족한 사람인 양 치부하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무엇보다도 결혼은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된 개체가 선택할 수 있는 여러 선택지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는 사회적 인식이 널리 퍼지고 있다. 혼자만의 생활을 전혀 꺼리지 않는 이들을 과거에는 ‘독신주의자’라는 별칭이 있었을 정도로 특이한 취급을 하였다. 하지만 이제는 누구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는 시대가 된 것이다.

셋째, 과거와 달리 홀로 지내기에 전혀 불편함이 없는 시장이 존재하고 서비스가 풍부하게 제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현상에 대해 미국의 사회학자 에릭 클라이넨버그(Eric Klinenberg) 뉴욕대 교수는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와 혼자 살기의 매력’이라는 저서에서 솔로 경제(solo economy)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만큼 과거와 달리 시장에서는 발 빠르게 1인 생활에 전혀 불편함이 없는 다양한 제품, 서비스가 출시된 지 오래다. 1인용 밥솥과 같은 주방 도구, 싱글족 대상 보험상품, 편의점과 마트에서 제공하는 간편하고 다양한 1인 가구용 식료품, 작지만 혼자 지내기에는 전혀 불편하지 않은 원룸 등 주거공간의 다양화 등이 솔로 경제를 지탱해주고 있다.

포항의 최근 흐름도 이와 비슷하다. 포항시 인구가 감소하는 데도 가구 수 자체는 늘어났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 분양 세대수는 포항시 전 가구 수를 넘은 지 오래다. 물론 그 차이는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 수도권 등의 부동산 규제가 강화되면서 다른 지역 거주 투자가들이 그동안 큰 폭 하락하였던 포항지역 아파트를 매집하여 단기간 내 높은 수익을 노리는 갭투자에 나서고 있는 것도 일부 요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지역 내에서 최근 수년간 쏟아진 은퇴 인력들이 자녀들 명의로 아파트를 마련해주기 위해 분가시킨 영향도 적지 않다. 포항지역 소비경제가 빠르게 회복하지 못하는 데는 그동안의 부동산 가격 하락 등에 따른 역자산효과와 더불어 몇 년 전 가장 높은 시세를 보였던 부동산 구매에 큰돈이 묶여 있는 데다 이처럼 자녀를 위한 자금 집행으로 가계의 소비 여력이 제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분위기 속에서 최근 포항의 인구감소가 두드러지고 있는 데는 20∼30대 인구가 갑자기 다른 곳으로 이주하기 시작한 것이 아니라 주민등록을 부모의 거주지에 두었던 자녀들에게 아파트청약자격을 갖추도록 수도권으로 주소를 이전하여 1인 세대로 분가시키는 현상이 가속화되었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앞으로 포항경제 전반에 걸친 주요 산업이나 다양한 업종의 소상공인들이 이 ‘솔로 경제’ 시대에 얼마나 순응해 나가는가에 따라 회복의 속도도 달라질 것은 분명하다.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하여 비대면 비접촉 서비스를 염두에 두고 리모델링을 생각하는 지역의 식당, 호텔 등은 절대적으로 이 흐름에 순응해야만 한다. 지역 농수산물 유통, 가공업체도 예외는 아니다. 굳이 포항, 경북이라는 좁은 지역적 영역만 생각할 필요도 없다. 영일만항의 주요 노선에도 솔로 경제는 있다. 1억 명 가까운 중국의 솔로 시장은 보너스다. 포항의 모든 업태와 업종이 지역은 물론 외국시장까지 염두에 둔 1인용 먹거리를 생산, 유통하고 수출까지 하였으면 한다. 포항경제가 회복하기 위해서는 솔로 경제가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

/한국은행 포항본부 부국장 김진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