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 한동대 교수
장규열 한동대 교수

봄을 건너 여름이다. 봄이 왔을까 싶었을 적에 우리를 찾아왔던 코로나19는 아직도 떠나지 않고 있다.

과학기술이 세상을 행복하게 해줄 것으로 믿었던 인류는 더없이 절망하고 있다. 우선 보이지 않는다. 현미경으로 본다고 해도 사람의 솜씨로는 어쩔 수 없는 존재 앞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물리칠 방법과 약을 찾는다 해도 수다한 환우들이 고통과 함께 이미 스러져 간 다음이 아닐까. 보이지도 들리지도 않는 코로나19가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 것은 인류에게 무엇을 가르치려는 것일까. 까닭없는 역사가 실제로 없다면, 바이러스로부터 우리는 무엇을 배워야 하는 것일까.

과학과 이성이 문명을 추동하며 모더니즘이 만개하는 길목에서 우리는 코로나19라는 엉뚱한 악한을 만났다. 백약이 무효인가 손쓸 겨를도 없이 천만이 넘는 사람들이 감염됐으며 수십만이 목숨을 잃었다. 얼마나 더 많은 사람들이 희생될 것인지 알지 못하며 그가 얼마나 더 오래 머물 것인지 누구도 모른다. 다 아는 것 같아도 실은 그다지 모른다는 게 현실이 아니었을까. 다 할 것 같았지만 실제로 할 수 있는 게 그리 많지 않았다는 가르침이 아니었을까. 문명의 탑을 높이높이 쌓았지만 이제는 좀 낮아지라는 자연의 목소리가 아니었을까. 깨우치지 못하면 그는 떠나지 않을지도 모를 일이다.

보이지 않는 악한은 바이러스뿐일까. 몸 안으로 침투하는 코로나19 만큼 마음을 병들게 하는 ‘미움’이 있다. 모든 종교가 사랑을 가르치지만 여기 세상은 미움을 키우고 있다. 미움은 혐오가 되고 단절이 되며 차별도 하고 배제도 한다. 왼손잡이가 오른손잡이와 다르지 않듯이 그 누구도 그의 존재 탓에 차별받지 않아야 하는데. 미국이 가진 인종차별 문제는 우리에게 무엇을 생각하게 하는가. 조금씩 다르다는 건 차라리 반기고 어울려야 할 다양함과 풍성함을 주지 않는가. 싫어하고 미워하며 돌던지고 멀리하노라면 끝내는 외톨이 나 자신만 남지 않을까. 세상에 나와 똑같은 사람은 어차피 없는데.

보이지 않는 것들로부터 더 많이 배운다. 바이러스에게 겸손함을 배우고 미워했던 기억들로부터 함께 어울려야 하는 까닭을 배운다. 겸손과 화합을 장착하면 세상은 또 얼마나 성큼성큼 나아질 것인가. 무한경쟁에 상처입지 않고 낮은 자세로 서로를 살피는 세상. 보이는 사물보다 보이지 않는 가치에 주목하는 세상. 단절과 반목으로 편가르지 않고 화합과 협력으로 함께 하는 세상. 문명이 성취한 빛나는 토대 위에 새로운 진전이 그렇게 다가왔으면 한다.

돌아보면 이미 깊이 들어와 있는 21세기이다. 백년 만에 닥친 바이러스의 소리없는 공격 앞에 맥없이 무너지는 세상을 지나면서, 우리는 낮아지고 더불어 사는 지혜를 챙겨야 한다. 세상이 아직도 이 모양인가 싶어 부끄러워 진다. 미움과 차별로 가득한 모습은 이제 벗었으면 한다.

코로나19가 지나갈 즈음, 뉴노멀로 다가올 세상은 겸손과 화합으로 그득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