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화진<br>영남대 객원교수·전 경북지방경찰청장
박화진
영남대 객원교수·전 경북지방경찰청장

19세기 이탈리아의 의학자이자 범죄인류학의 창시자인 롬브로조는 ‘생래적 범죄인설’을 주장했다. 생래적 범죄인은 원시선조의 야만성이 격세 유전하여 후대에 나타나고 선천적인 범죄인이라고 주장했다. 생래적 범죄인은 환경에 관계없이 운명적으로 범죄인이 될 수밖에 없다고 한다. 이들은 예방과 교화가 불가능하므로 사회에서 격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연구는 범죄학에서 중요한 시금석이 되었다. 사람의 두개골 형상을 관찰한 결과에서 착안했다고 한다.

오랜 세월 범죄인을 접한 경험에 의하면 범죄꾼임을 얼굴에서 얼핏 읽게 된다. 특히 강도, 살인 같은 흉악범의 험상궂은 얼굴을 보면 롬브로조의 주장이 마냥 낡은 학설로 치부하기엔 자신이 없어진다.

두상(頭相)을 보고 사람 됨됨이를 파악하는 것은 동양에서도 있었다. 삼국지에 촉나라 장수 가운데 위연이 유비에게 투항해 올 때 위연의 두상을 보고 제갈량이 그의 투항을 받아들이지 않으려고 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위연의 뒤통수가 튀어나온 형상을 보고 그는 후일 배반을 할 것이라고 조언하였다. 유비의 관대함으로 위연은 받아들여졌지만 결국에는 위연이 반란을 시도하였다. 이때 위연의 두상을 ‘반골(反骨)’이라 칭하였다. 반골은 세상의 일이나 권위 따위에 순종하지 않고 반항하거나 옳고 그름을 떠나 일반적인 권위나 방식, 관습 등에 맹종하기보다는 자신의 방식을 고집하거나 비판과 반항을 일삼는 기질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왕조시대 궁중에서 후궁의 소생들이 태어나면 관상을 보아 반골이면 후일 모반을 할 가능성 있다며 제거했다는 설도 있다. 두상을 통해 범죄인이거나 배반을 할 것으로 판단했다니 현대적인 사고방식으로는 받아들이기 곤란한 일이다. 그럼에도 반골의 기질을 가진 사람은 시대를 초월하여 있었던 것 같다. 그들은 기존 질서에 도전하는 행동으로 자신과 가족에 대한 핍박으로 한 시대를 불행하게 살아갔다. 세월이 흘러 역사의 평가가 엇갈리면 그들의 처절했던 행동과 절규는 한 순간에 선양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유독 굴곡 많은 역사를 지닌 우리는 반골 기질 사람들의 역사로 점철된 것 같다. 지나온 시절은 기존 질서에 순응하고 살았던 사람들이 출세를 하며 살던 세상이었다. 학창시절 선생님 말씀 잘 듣고 열심히 공부한 사람들이 세상을 경영하던 시절이었다. 기존의 권위에 도전한 사람들이 득세하는 세상이 되었다. 권위주의 정권에 저항한 사람들, 경영자의 지위를 타박하는 노조원들, 교장의 권위에 도전한 평교사들, 장군의 권위에 도전한 병사들, 검·경의 상명하복 지휘체계에 반기를 든 사람들 등등. 이들이 새로운 질서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중심으로만 집중되었던 권위가 파편화되어 비산하고 있다. 정당한 권위 행사가 주저되거나 포기되며 눈치를 보는 분위기다. 이념으로 채색되면 감당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체념이다.

오랜 경험과 세상 지혜를 전수하려는 어른의 권위마저 없어지는 사회가 되는 것이 아닌가 걱정이 밀려온다. 새로운 질서와 권위도 시간이 지나면 도전받을 것이다. ‘신(新)반골들로 세상이 또 다시 소용돌이치면 어쩌지?’꼰대의 기우가 아니길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