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 한동대 교수
장규열 한동대 교수

대학입시가 사람잡는다. 수험생 본인뿐 아니라 온 가족이 비상이다. 원하는 대학에만 들어가면 세상이 바뀔 모양이다. 젊은 시절 사서도 할 고생이라 여기며 힘든 시간을 보낸다. 참고 견디며 어려운 시간을 지나 대학에 입학하였다. 대학들은 올해도 어김없이 신입생들을 맞아 한 학기를 보냈다. 그런데 공허하다. 파릇파릇한 새내기들은 아직 학교 문턱에도 가 보지 못하였다. 문제가 많다는 신입생환영회는 구경도 못했다. 대학 강의실은 고등학교와 어떻게 다른 것일까. 교수님은 언제 만나볼 수 있을까. 같은 과 동기들은 모두 어디서 왔을까.

코로나19가 질기다. 상황이 나아지지 않아 대학들이 몸살이다. 온라인강의로 한 학기를 보냈지만 다음 학기는 어떨 것인지 아직 모른다. 교수들이 대학지성을 길러야 하는데 영락없는 지식장사꾼이 되어 자괴감으로 한가득이다. 디지털 세상이 열리면서 이런 날이 올 것으로 알기는 했지만 이렇게 닥칠 줄은 꿈에도 몰랐다. 비대면 강의로 만나는 교수와 학생에게 소통과 교감은 아무래도 제한적이다. 쌍방향소통이 가능하지만 강의실과 연구실에서 나누는 대화와는 비교도 안 된다. 가족에게 집이 필요하듯이 대학에도 ‘장소’가 있어야 한다. 온라인콘텐츠로서 강의가 주목받지만 그것으로 대학을 완성할 수는 없다.

온라인 소통이 본격적으로 주목받는다. 강의와 회의, 업무와 협력을 만나지 않고도 이렇게 광범위하게 할 수 있어 다행이긴 하다. 위기 가운데 교육과 업무가 끊이지 않고 진행되지 않는가. 새로운 발견이자 신통한 깨우침이다. 건물과 장소의 의미를 여러 방향에서 다시 생각한다. 수요가 줄면 부동산의 가치도 다시 평가되지 않을까. 교육공간과 업무공간은 이미 다시 바라보는 중이다. 강의의 온라인화는 가속될 전망이다. 기술의 진보로 소통과 교감이 보완되면서 콘텐츠의 심도가 유지되는 방향으로 진화해 갈 터이다. 강의실의 명강의는 사이버공간으로 옮겨오지 않을까.

디지털원주민(Digital natives)으로 태어난 올해 대학신입생들은 디지털시대의 본격 진화를 목격하고 있다. 그들은 어쩌면, 앞선 세대가 충분히 도와주지 못하는 처음 세대가 될지도 모른다. 낯선 상황을 함께 겪으며 헤쳐가야 하는 운명에 처한 게 아닌가. 세월호 사건 탓에 수학여행도 자제했었는데 오늘은 코로나19를 겪는다. 그 사이에는 대통령이 물러났던 촛불혁명도 보았다. 강고했던 고정관념이 무너지고 새로운 기술과 질서들이 현실로 나타나는 세상을 경험하였다. 그들은 어쩌면 우리들 가운데 상상력이 가장 풍부한 세대가 되지 않을까. 정답에 얽매이지 않고 유연하게 생각할 줄 아는 첫 세대가 되지 않을까.

20학번들을 만나보고 싶다. 오늘은 어렵고 안타깝지만, 그대들에겐 거역할 수 없는 미래가 있다. 못 만나는 동안에도 열심히 갈고닦아 여러분의 내일을 준비하기 바란다. 온라인으로라도 길이 닿아 소통에 이른다면 기꺼이 함께 할 선배들이 있다. 20학번,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