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대다수 200~300만원 임금
남자 208만·여자 158만 가구
연령별로는 50~64세 가장 많아

1인 가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 가구는 600만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1인 가구의 40%는 미취업 상태인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3일 ‘2019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동향’을 발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5년 500만을 돌파했던 1인 가구 수는 매년 증가해 지난해 600만을 돌파했다. 지난해 10월 기준 1인 가구는 603만9천 가구로 전년(578만8천 가구)보다 25만1천 가구(4.3%) 증가했다. 1인 가구가 전체 가구(2천18만3천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9.9%로 1년 전보다 0.7%p 상승했다. 1인 가구 증가율(4.3%)운 전체 가구 증가율(1.9%)을 웃돌았다.

반면, 지난해 1인 가구 고용율은 전년보다 0.3%p 하락했다. 취업자인 1인 가구는 367만1천 가구로 전년보다 13만4천 가구(3.8%) 늘었으나, 전체 1인 가구 수가 늘면서 상대적인 고용율은 하락했다.

이들 가운데 291만2천 가구(79.3%)가 임금근로자였으며, 75만9천 가구(20.7%)는 비임금근로자였다.

아울러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 비중은 68.4%로 전년보다 1.1%포인트 증가했다. 그런가 하면, 1인 가구 임금근로자의 36.0%는 200만원 ~ 300만원 미만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100만원 ~ 200만원 미만 임금이 21.3%였고, 300만원 ~ 400만원 임금을 받는 근로자가 18.8%였다. 400만원 이상의 임금을 받는 근로자는 12.2%인 반면, 100만원 미만의 임금근로자도 11.7%나 됐다.

결과적으로 1인 가구 취업자 3명 중 1명꼴로 200만원 미만의 저임금 취업자인 셈이다. 다만, 100만원 ~ 200만원 비중이 전년보다 3.3%p 낮아진 반면, 300만원 ~ 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 비중은 각각 1.7%p, 0.9%p 올라갔다.

1인 가구의 성별 구성은 남자가 208만1천 가구(56.7%), 여자가 158만9천 가구(43.3%)였다. 전년과 비교하면 남자는 4만 가구(2.0%), 여자는 9만3천가구(6.2%) 증가했다. 이들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남성이 42.7시간, 여성이 37.2시간이었다. 남녀 모두 1년 전보다 각각 0.7시간, 0.8시간 줄었다.

연령별는 50세 ~ 64세가 101만2천 가구(27.6%)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83만 가구·22.6%), 40대(71만5천 가구·19.5%), 15세 ~ 29세(68만7천가구·18.7%), 65세 이상(42만7천가구·11.6%) 순이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청년층이 분가한 뒤 결혼을 늦게 하는 만혼 현상과 고령화 속 사별 등으로 1인 가구 증가폭이 크게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