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길수<br>수필가
강길수
수필가

쪽지가 잘 나오지 않는다. 앞선 이들은 한 번에 잘도 집어내던데, 나는 그러지 못하다. 아마도 다른 쪽지들보다 깊게 꽂혀있거나, 약하게 뽑았을 것이다. 두 번째 당겨도 역시 마찬가지다. 당황스러워지며 뒤에서 기다리는 분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든다. 왼손 엄지와 검지에 힘을 더 주어 뽑아낸다. 세 번 시도 끝의 성공이다.

삼세번 당겨 손에 잡은 불혀 모양의 연녹색 성령칠은(聖靈七恩) 낱말쪽지…. 어느 은혜를 선택했을까 아니, 주어졌을까. ‘코로나 19로 모두가 어렵게 사는 지금 내게 긴요한 은총은 무얼까’하고 마음이 자문하지만, 미사 중에 열어볼 수가 없다. 공지사항 시간에 보리라 마음먹고, 궁금증도 함께 담아 매일미사 책갈피에 넣어 둔다.

미사 끝자락, 공지사항 시간이다. 책갈피의 쪽지를 꺼낸다. 이른 봄, 돋아난 지 얼마 안 된 연록 생강나무 잎을 닮은 성령칠은 쪽지다. 불혀와는 어울리지 않는 색깔이란 생각이 스친다. 두 겹으로 접어져 있다. 색종이에 낱말을 써넣고 접어서 불혀 모양으로 오린 것이다. 연록 불혀를 살짝 연다. 왼쪽 면의 “지식”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다시 접어 책갈피에 꽂는다. 집에 가 자세히 보리라 마음먹는다.

미사가 끝났다. 신부님과 교우들의 작별 인사를 안고 집으로 향한다. 올핸 왜 ‘지식’을 받았나 하는 의문이 오는 동안 뇌리를 맴돈다. 명색이 글도 쓰는 사람이라고 끊임없이 지식을 추구하라는 건가. 아니면, 얕은 지식에 기대어 교만하지 말라는 경고인가 등등 이런저런 생각이 꼬리를 문다. 드디어 집 거실이다. 찬찬히 성령칠은 쪽지를 연다. 왼쪽 면에, “지식”이란 굵고 큰 글자 아래 “(scientia)”라 씌어있다. 오른쪽 면에는 “신앙감, 믿어야 할 진리와 허위를 식별하는 은혜.”라고 적혀있다.

미사 끝 무렵 처음 확인 때 들었던 생각과는 다른 내용이다. 물론, 어렴풋이 기억에 남아있는 그 옛날 고교 시절의 교리문답 내용과 이후 받았던 여러 교육을 통해 가진 지식에 대한 관념과 완전히 다른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핵심내용이 ‘식별’이란 점에서 거리감이 느껴진다. 사회에서 통용되는 지식의 개념과는 차원이 다르다. 즉, 국어사전에서 말하는 ‘체계화된 인식의 총체’나 ‘사물, 상황에 대한 정보’가 사회에서 말하는 지식의 내용일 테니까 말이다.

오히려, 철학에서 말하는 ‘객관적으로 확증된 판단의 체계’와 내용이 일맥상통해 보인다. 인식의 총체나 정보에 따라 판단하고 진리와 거짓을 식별하여, 그것을 믿고 받들며 살게 하는 힘이 지식 곧, 시엔티아라고 정리할 수 있겠다. 또, 진리는 신앙적 내용뿐 아니라 온 세상을 품을 것이므로, 진실도 그 안에 자리함이 마땅하다. 즉, 지식은 신앙적 진리뿐 아니라 사회적 진실도 당연히 식별해야 한다. 그렇다면, 나는 지식과 관련하여 어찌 살고 있는가.

한마디로 성령의 은혜로 주어지는 지식과는 별개로 살아왔다. 공부도, 직장 일도, 신앙생활도, 사회생활도 식별과는 담을 쌓고 살아왔고 또, 살고 있다고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믿어야 할 진리와 믿지 않아야 할 거짓을 구분하려 들지 않았다. 다다익선처럼 ‘나와 가정과 사회공동체에 해가 되지 않는 것이라면, 윤리 도덕 내지 신앙적으로 꼬치꼬치 따질 필요가 없지 않은가’하는 생각으로 살아 온 것이다.

진실과 거짓을 식별하는 지식의 눈으로 우리 사회를 바라보면 어떨까. 지난 4·15총선 부정선거 의혹만 하더라도, 언론이 담합이라도 한 듯 보도치 않아 국민의 알 권리는 유린당하는 현실이다. 동일한 모집단의 사전투표 결과가 본 투표와 달리, 거의 대부분의 지역구에서 기이한 통계적 패턴을 보이며 여당에 표를 몰아주었다. 또, 비례대표의 정당별 득표율과 정당별 의원당선자 수의 비율이 상식 밖으로 차이가 났다. 경영학을 배웠던 내 통계적 소견에 비추어 보아도, 도저히 일어날 수 없는 선거 결과다. 이러한 팩트가 커다란 사회적 이슈가 되지 않는 연유는 무엇일까. 나도, 국민들도 지식에 근거한 식별의 눈을 크게 뜨고 살아가지 않기 때문은 아닐까.

지식의 은혜가 온 세상에 내려, 진실과 거짓이 제대로 식별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