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시장은 저녁부터 자정까지 영업하는 포장마차다. 음식과 일상용품 등을 파는 노점상들이 자연발생적으로 모여 형성한 야간 시장을 말한다.

굳이 유래를 따지자면 중국에서 발전했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1926년 서울 종로 보신각부터 종로3가까지 전차가 다니던 길의 북쪽에 형성된 야시장이 최초의 야시장이라 한다.

해외여행 붐이 일면서 야시장은 그 나라 문화를 몸으로 체험할 수 있는 장소로 각광을 받으며 동남아국가에서 야시장이 많이 만들어졌다. 대만의 한 야시장은 200년 넘는 역사를 자랑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도 지역상권을 살리고 관광자원화 하려는 취지로 야시장들이 도시마다 특성에 맞게 많이 생겼다. 서울의 동대문이나 남대문 시장처럼 대구에서는 서문시장 야시장이 2016년 6월 처음 문을 열었다.

350m에 이르는 80여 매대에서 판매하는 각종 음식과 생활용품 등은 관광객의 눈길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개장 첫날 10만여 인파가 다녀갈 정도로 인기를 모았다. 서문시장 야시장의 인기에 편성해 지난해 11월에는 칠성시장 야시장도 개장했다. 대구의 새로운 명소가 될 것이란 기대감도 안겨주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창궐하면서 이들 야시장은 된서리를 맞았다. 우선 몇 개월의 휴장기간을 가져야 했고 그로 인해 방문객의 발길도 자연 줄어들었다. 서문시장 야시장의 경우 하루 방문객이 지난해보다 60%가 줄었다. 매대 운영자도 절반이 떨어져 나간 상태다. 칠성시장 야시장도 비슷하다.

상인들은 예전 같은 활기를 되찾을 수 있을지 걱정이 태산이라 한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폐해가 야시장까지 마수의 손길을 뻗치고 있는 것이다. 사람이 모여야 장사가 되는 야시장의 운명이 바람 앞의 촛불같아 안타깝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