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왕국 신라, 서라벌의 보물들
(1) 월정교

아름다운 월정교 야경과 월성 위에 뜬 보름달이 어우러진 모습.  /경북매일 DB
아름다운 월정교 야경과 월성 위에 뜬 보름달이 어우러진 모습. /경북매일 DB

‘천년왕국’ 신라의 숨결이 여전히 살아있는 경주는 ‘거리 자체가 박물관’이란 수식어에 맞춤한 도시다. 산처럼 솟은 거대한 왕릉과 역사서에 이름을 남긴 수많은 사찰들, 곳곳에 산재한 석탑과 불상, 여기에 화랑도와 풍류정신처럼 1천년을 이어져온 무형의 자산까지.

고고학자들에게는 신화적 상상력을 제공해 역사 탐구에 대한 열정을 불러일으켰고, 관광객들에겐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선물한 서라벌의 유적과 유물들. 이것들은 여러 말 할 없이 한민족(韓民族)의 소중한 보물들임이 분명하다.

경주엔 우리에게 잘 알려진 보물 외에도 새롭게 주목받는 여행지와 복원된 문화 유적, 유명세를 얻은 젊은이들의 거리, 깔끔하게 잘 조성된 전통마을이 적지 않다. 이들 역시 ‘서라벌의 새로운 보물’이라 불러도 좋을 듯하다.

본지는 경주의 소중한 관광자원이자 세계인들 앞에 자랑스럽게 내놓을 수 있는 유적, 유물, 새로운 관광지, 정신적 자산까지를 하나하나 직접 찾아가 그 가치를 알리고자 특집기획기사 ‘천년왕국 신라, 서라벌의 보물들’을 연재한다.

 

경주 교동에 자리한 통일신라시대 때 지어진 ‘월정교’
길이 66.15m·높이 6m 국내 최대 목조 교량으로 복원
시, 신라 왕경 8대 핵심유적복원 정비사업 첫번째 작품
고전적 건축·현대적 빛으로 화려하고 낭만적인 밤 풍경
푸른색 붉은빛 따라 거닐면 신라건축 아름다움 고스란히

◆ 서둘러 온 여름, 월정교에서 땀을 식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여파가 아직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듯 평일의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은 한산했다. 터미널에서 월정교까지는 버스를 이용해도 좋고, 택시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자가용이 없어도 경주를 둘러보는 데는 큰 불편함이 없다. 택시에 오른다면 목적지까지 채 5분이 걸리지 않는다.

“올 봄엔 관광객들이 없어서 많이 힘들지 않았습니까”라는 질문에 60대 후반의 택시기사는 “이제 조금씩 좋아지고 있습니다. 주말이면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적지 않은 사람들이 경주를 찾고 있어요”라며 웃었다. “한국 어디를 가도 경주만한 관광지가 없습니다”라고 말하는 그는 경주에서 태어나 평생을 경주에서 살았다고 했다.

왼편으로 월정교가 보이는 도로 한 편에 차를 세워준 택시기사가 미소로 여행자를 배웅했다. 6월 초순에 어울리지 않게 한낮의 햇살이 여름처럼 뜨거웠다. 기자가 월정교를 찾은 날엔 이른 ‘폭염주의보’가 내렸다.

서둘러 찾아온 더위를 피해 월정교로 들어섰다. 푸른색과 붉은빛으로 칠해진 긴 다리는 위가 막혀 있어 그늘을 만들어냈고, 그 아래 서니 흘러내린 땀이 식었다.

경주시 교동에 자리한 월정교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다리다. 역사의 비바람 속에 조선시대에 유실돼 사라졌지만, 신라 왕경 8대 핵심유적 복원 정비사업으로 지금의 모습을 되찾게 됐다. 새롭게 복원된 월정교가 온전히 모습을 드러낸 건 지난 2018년 봄.

‘삼국사기’엔 월정교가 경덕왕 19년(760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기록돼 있다. 이 다리는 당시 서라벌 월성과 남산을 연결하고 있었다.

1984년과 1986년 2번에 걸쳐 진행된 자료 수집과 발굴 조사를 통해 나무로 만들어진 다리가 현재 위치에 있었음이 확인된 바 있고, 이후 오랜 작업을 통해 길이 66.15m·폭 13m·높이 6m의 교량 복원이 이뤄졌다. 월정교는 국내에서 가장 큰 목조 교량이기도 하다.

월정교에서 바라보는 주위 풍광은 아름답다. 일찍 시작된 초여름. 건너편 교촌마을의 한옥 기와가 햇볕 아래 빛났고, 고목을 스쳐 지나는 바람 소리가 한낮의 고요함을 깨고 있었다.

연인이나 부부라면 낮에 보는 월정교보다 조명으로 화려하게 장식되는 밤의 월정교를 더 좋아할 수도 있다. 고전적 건축물과 현대적 빛이 만들어내는 낭만적인 하모니 곁에서 오래 기억에 남을 사진 한 장을 남겨도 좋을 테고.

 

월정교 현판이 걸려 있는 입구의 모습.
월정교 현판이 걸려 있는 입구의 모습.

◆ 1천300년 전 서라벌의 규모를 짐작하게 해주는 다리

많은 사람이 입을 모아 말하듯 경주 여행의 가장 큰 매력은 “오늘날의 관점에서 아주 먼 옛날을 더듬어 상상할 수 있다”는 게 아닐까?

복원된 월정교에 서서 주위를 둘러보면 1천200~300년 전 신라의 모습이 어렴풋이 그려진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등 고문헌에 의하면 그 옛날 경주를 가로질러 흐르던 남천과 서천에는 여러 개의 다리가 있었다고 한다.

월정교와 춘양교를 비롯해 금교, 귀교, 유교, 굴심천교, 심원교, 효불효자교 등이 바로 그것. 그러나, 세월무상.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 뿐 지금까지 그 자취가 남아있는 교량은 극히 소수다.

다만 근대 이후 학자들의 연구와 지속적인 추적을 통해 알려진 바로는 남천보다 서천과 북천에 더 많은 다리가 존재했음이 밝혀졌다. 고고학자들은 이를 근거로 “서라벌은 왕경의 북쪽과 서쪽이 더 번성했고, 여기에 많은 수의 백성들이 거주했다”는 추정을 내놓고 있다.

월정교는 앞서 언급한 북·서 방향이 아닌 남쪽에 만들어진 교량이다. 월정교 인근에 존재했던 다리로 보이는 건 춘양교와 교촌교, 그리고 조선시대에 축조된 오릉 근처의 교량 정도다. 어쨌든 아득한 과거에 신라는 빼어난 석·목조 기술로 만들어진 다리 수십 개가 도시의 북과 남, 동과 서를 이어주던 낭만적인 고도(古都)였음이 분명하다.

이중 월정교와 인근에 있었던 것으로 짐작되는 춘양교는 통일신라시대의 미려한 건축 양식을 가감 없이 보여주는 ‘고대의 보물’.

월정교 발굴에 참여했던 역사학자들은 “월정교와 춘양교는 다리 교각의 모양과 크기, 그리고 교대 날개벽 석축과 퇴물림식 축조 방법은 물론 석재의 색깔과 재질도 유사했다”고 증언하고 있다.

2020년 오늘을 사는 우리들로선 눈앞에 존재하는 (고증을 통해 복원된)월정교와 함께 춘양교의 옛 모습도 궁금해질 수밖에 없다. 지금은 경주시에 의해 춘양교 석재 유물 정비 등이 진행되고 있다니 인내심을 가지고 지켜볼 일이다. 어쨌건 두 교량에 관한 현대인의 궁금증을 김부식의 ‘삼국사기’는 이렇게 간단하게나마 해소해준다.

“경덕왕 19년 2월 궁의 남쪽 문천상에 월정, 춘양 두 다리를 놓았다.”

여기에 학자들은 아래와 같은 설명을 덧붙여 월정교가 가졌던 당대의 위상을 알리고 있다.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이 발행한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 제20권 ‘신라의 유적과 유물’ 중 일부 내용을 아래 인용한다.

“월정교와 춘양교 두 다리는 우리나라 고대 교량의 축조 방법과 토목기술을 보여준다. 이뿐 아니라 월정교는 신라 왕경 서쪽 지역의 주된 교통로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고, 춘양교는 경주 남산과 남쪽 외지를 연결했을 것으로 추정돼 과거 서라벌의 규모와 성격을 파악하는 귀한 자료가 되고 있다.”
 

오랜 작업을 통해 지난 2018년에 길이 66.15m·폭 13m·높이 6m의 교량 복원이 이뤄졌다. 월정교는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목조 교량이기도 하다. 월정교 뒤쪽으로 교촌 한옥마을의 모습이 보인다.  /이용선기자
오랜 작업을 통해 지난 2018년에 길이 66.15m·폭 13m·높이 6m의 교량 복원이 이뤄졌다. 월정교는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목조 교량이기도 하다. 월정교 뒤쪽으로 교촌 한옥마을의 모습이 보인다. /이용선기자

◆ 낭만적 사랑의 설화가 전하기도 하는 월정교

동양과 서양을 불문하고 전설이나 민담을 볼라치면 ‘다리’는 이승과 저승, 인간계와 선계(仙界), 피안(彼岸)과 차안(此岸) 사이에 존재하는 ‘신비한 그 어떤 것’이었다. 다리 한쪽 편에 고통과 번뇌가 가득하다면, 반대편엔 해탈과 영원이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다는 식의 이야기가 다수다. 그렇기에 ‘다리를 건너간다’는 문장엔 단순히 물질적 이동만이 아닌 정신적 변이의 의미까지 담겨있는 것이 아닐지.

역사학자에 따라 의견이 갈리기는 하지만, 월정교엔 금기된 사랑의 장벽을 ‘건너가고자 했던’ 승려의 낭만적 이야기가 숨겨져 있다. 많은 이들이 한 번쯤은 들어봤을 원효와 요석공주의 러브스토리다.

원효가 누구인가. 청년 시절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던 길. 어느 날 동굴에서 잠을 청했고, 갈증 탓에 깨어나 물 한 잔을 달게 마셨다. 이튿날 그 물이 사람의 머리뼈에 고인 썩은 물임을 알고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모든 것은 마음이 만들어내는 것)의 궁극적 깨달음을 얻었다는 사람.

이후 그는 머리칼도 깎지 않고 거리를 떠돌았다. 또한 “배우고자 한다면 스승이 누구인지를 가릴 필요가 없다”며 파계(破戒)도 불사했다. 하지만 대중은 그에게 열광한다. ‘삼국유사’는 원효의 행적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원효가 천촌만락(千村萬落)에서 노래하고 춤추며 교화하고 음영하여 돌아오니 가난하고 무지몽매한 무리들까지도 모두 부처의 덕을 알게 되었다.”

도그마와 경직된 율법이 지배하던 고대에 근대적 방식의 해탈을 꿈꾸었던 전위적 승려 원효. 그는 요석공주와의 사랑을 위해 다리(월정교라는 이야기와 문천교라는 주장이 엇갈린다. 또, 월정교와 문천교가 같은 다리라는 주장과 그렇지 않다는 학설이 공존한다) 위에서 강으로 몸을 던졌다.

젖은 옷을 말린다는 이유를 들어 요석궁에서 공주와 몸을 섞었고, 그로 인해 태어난 인물이 바로 신라 유학계의 거두(巨頭) 설총이다.

이 설화가 아들을 통해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했던 원효의 꿈에 기반한 것이건, 홀로 된 딸이 현자(顯者)와 어울리기를 원했던 왕의 욕망이 만들어낸 것이건, 그건 중요하지 않아 보인다. 게다가 1천300년이 흐른 지금 전하는 이야기의 사실 여부는 누구도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니, 우리는 신라 건축 양식의 아름다움을 고스란히 재현한 월정교를 거닐며, 드라마틱하고 흥미로운 고대의 사랑 이야기에 매혹되면 될 일이다. 그게 ‘서라벌의 보물’을 만나는 보통 여행자의 즐거움 아닐까?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