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의료 현실이 취약하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한다. 사람과 돈이 서울에 몰리면서 지방은 의료뿐 아니라 거의 모든 분야에서 서울과의 격차가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같은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중앙의 권한을 지방으로 분산해야 한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됐으나 정부의 태도는 요지부동이다. 수도권 공장총량제는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꼭 지켜져야 할 제도이나 정부 정책은 고무줄처럼 수시로 오락가락한다. 대표적 사례가 SK 하이닉스 반도체 공장의 수도권 신설이다. 못 살겠다고 부르짖는 지방의 아우성은 중앙정부 귀에는 마이동풍과 같다.

지난해 국정조사에서 밝혀진 바에 의하면 서울 등 수도권 대형병원을 찾는 타지역 환자의 비중이 40%에 달했다. 서울대병원은 초진까지 걸리는 기간이 무려 한 달이 소요됐다. 지역의 환자 상당수는 서울 등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제대로 진료를 받았다고 생각한다. 수도권 집중 정책이 지역의료에 대한 불신까지 키운 꼴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집중 발생한 대구와 경북은 의료진 등의 희생적 노력으로 코로나 사태를 극적으로 극복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드러난 취약한 지역의 의료체계가 또한번 우리를 실망시켰다, 감염병이 유행병처럼 되풀이 되는 현실에 앞으로 또다시 감염병이 돈다면 지금의 취약한 의료체계로 과연 감염병을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감염병 전문의는 대구경북에 모두 18명이 있다. 그나마 대구에 집중되고 경북에는 포항성모병원에 1명 있는 것이 고작이다. 도내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돼 코로나 환자를 담당했던 김천, 안동, 포항의료원에는 감염내과조차 없다. 이것이 경북의료의 현실이다.

올 가을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다시 대유행할 거란 의료계의 전망이다. 감염내과 전문의가 부족한 경북에서 지난번과 같은 코로나 사태가 다시 발생한다면 과연 치료활동이 가능할지 의문이다.

우리나라의 감염병 전문의는 전국적으로 275명이 있으나 감염병을 담당하기에는 그 수가 터무니없이 모자란다고 한다. 경북과 같은 도농지역은 전문의들의 기피로 의사를 데려오기조차 힘들다고 한다.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발생에 이어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등 감염병 발병의 빈도가 잦아지고 있다. 취약한 지방의 의료체계 구축에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