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를 넘나든 ‘전방위 작가’ 장정일

장정일 소설 ‘아담이 눈 뜰 때’.
장정일 소설 ‘아담이 눈 뜰 때’.

‘기형도 산문집’(살림, 1990)은 유고시집 ‘입 속의 검은 잎’(문학과지성사, 1989)으로 전설의 반열에 오른 시인 기형도가 별세한 1년 후에 출간된 산문집이다. 이 산문집의 첫 번째 글은 ‘짧은 여행의 기록’이라는 제목으로 1988년 8월 2일부터 8월 5일까지 3박 4일간 ‘서울-대구-전주-광주-순천-부산-서울’로 이어지는 여행을 기록한 것이다. 기형도는 대구에 도착해서 가장 먼저 장정일에게 전화를 건다. 곧바로 대구백화점으로 달려 나온 장정일과 기형도는 차수를 바꿔 가며 맥주를 마시고, 문학과 영화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이야기들을 나눈다. “서울서 봤을 때는 말이 없었는데 대구라 그런지 말을 많이 하였고 발랄하였다.”는 기형도의 표현처럼, 장정일은 친한 선배를 만난 어린 후배처럼 활기찬 모습을 보여준다. 1962년 1월 6일 경북 달성에서 태어나 1977년 성서중학교를 졸업한 장정일은 대구에서 나고 자라, 그 곳에서 글을 쓴 작가였던 것이다.

 

 

 

결국

아담은 형처럼 뉴욕으로

심지어는 우주로도 갈 수 있는

가속도의 세계에 몸 담기를

거부하고,

“한없이 느리고 덜그럭거리는

보통열차를 타고” 대구로 내려가

작가가 된다.

이것은 “내 온몸으로 이 세계의

가속도에 브레이크는 거는 일”이며, “가짜 낙원을 단호히 내뿌리치고

잃었던 낙원, 실재, 진리를

되찾는” 일에

해당한다.

 

그러나 장정일의 출세작이라고 할 수 있는 ‘아담이 눈 뜰 때’(1990)가 “봄과 가을이 짧고 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이 긴 분지도시” 대구를 배경으로 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가 감각적 쾌락을 위해 자주 찾는 곳은 향촌동이고, 올림픽이 개막되던 날 탬버린 치는 남자가 서있던 곳은 대구은행 본점 앞이며, 아담과 현재가 로이 부캐넌의 추모식을 여는 곳은 장정일이 ‘강정 간다’라는 시를 지었을 정도로 애착을 보여준 대구 인근의 유원지 강정이다.

“자주 추문(醜聞)에 휩싸이는 불행한 사제(司祭)”(구모룡, 오만한 사제의 위장된 백일몽, 작가세계, 1997년 봄호, 42면)라는 말처럼, 장정일처럼 문단과 사회의 큰 화제를 몰고 다닌 문인도 드물다. 특이한 삶의 이력은 본인이 직접 ‘개인기록’(문학동네, 1995년 봄호)을 통해 밝힌 사실이라는 점에서 더욱 충격적아다. 또한 그는 ‘내게 거짓말을 해봐’(1996)를 통해 뜨거운(혹은 따가운) 관심을 받으며 약 4년간 법정 다툼에 시달리기도 하였다. 이 모든 것은 장정일이 결코 손쉬운 타협의 길이 아닌 불화와 처벌을 감수하면서까지 자기만의 독창적인 세계를 고집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시, 희곡, 소설을 넘나드는 전방위적인 작가이고, 여러 권의 ‘독서일기’를 출판한 우리 시대의 대표적인 독서가이기도 하다.

장정일은 많은 평자들에 의해 좋은 의미에서든 나쁜 의미에서든 포스트모더니즘과 1990년대 신세대 문학의 맨 앞자리에 놓이는 작가로 평가받았다. ‘아담이 눈뜰 때’는 파격적인 외양과는 달리, 그 내적 본질은 근대소설의 정석에 충실한 작품이다. 이것은 자기 보존의 평범한 욕망에 만족할 수 없는 문제적 개인이 진정한 가치를 찾아 떠난다는 근대소설의 내적 형식에 이 작품이 맞닿아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아담이 눈뜰 때’는 1988년에 19살이 된 아담이 성인의 세계로 입문하는 과정에서 겪는 갈등을 통해 정신적 성장과 사회에 대한 각성을 보여주는 일종의 성장소설이다. 이 때의 성장은 구체적으로 ‘작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나며, 그렇기에 이 작품 전체는 ‘작가의 탄생기’라고 볼 수도 있다. ‘아담이 눈뜰 때’는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시작되는데, 이것은 작품의 마지막에서도 그대로 반복된다.

 

‘아담이 눈 뜰 때’는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동명 영화의 한 장면.
‘아담이 눈 뜰 때’는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동명 영화의 한 장면.

내 나이 열아홉 살, 그때 내가 가장 가지고 싶었던 것은 타자기와 뭉크화집과 카세트 라디오에 연결하여 레코드를 들을 수 있게 하는 턴테이블이었다. 단지, 그것들만이 열아홉 살 때 내가 이 세상으로부터 얻고자 원하는, 전부의 것이었다.

이 소설은 열아홉의 재수생인 아담이 우여곡절 끝에 타자기와 뭉크화집과 턴테이블을 손에 넣기까지의 과정이 주요 서사이고, 이것을 얻은 후에 아담은 실제 타자기를 통해 이 소설을 창작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이 작품은 한 명의 작가가 탄생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 되는 것이다. 뭉크화집을 얻기 위해 아담은 키치(Kitsch)의 세계를 상징하는 40대 여성 화가에게 몸과 이미지를 바쳐야 했고, 턴테이블을 얻기 위해서는 비인간적 자본을 상징하는 오디오 가게 사장에게 항문을 바쳐야 했으며, 타자기를 얻기 위해서는 청소부 어머니의 오랜 꿈인 일류대학 진학을 포기해야 했던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담은 자신이 ‘가짜 낙원’에서 눈을 뜬 아담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아담을 절망케 한 이 세계의 본질은 ‘파시스트적 가속도’가 지배한다는 것이다. 파시스트적 가속도는 “근대의 여러 가지 제도적 장치가 엄청난 자본과 연결되어 무서운 속도로 전진운동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생리가 지배할 때, 세계는 “전진하는 것만이 발전이며 성공”으로 인정받게 된다. 이러한 파시스트적 가속도의 세계와 이에 저항하는 세계는 스피드족들과 오디오족들, 일렉트로닉 리스너(Electronic Listener)와 뮤직 러버(Music Lover)등으로 반복해서 나타난다. 전자가 앞으로 내달리는 것만을 최고의 가치로 여겨 새로운 정복지를 갈구한다면, 후자는 반추행위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창조적 고독 속에 묻히려는 자들이다.

이러한 파시스트적 가속도의 세계에 맞서 아담과 동년배인 은선과 현재는 자기들만의 방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들을 하나로 엮어주는 것은 다름 아닌 록(Rock)이다. 신기하게도 아담은 말할 것도 없고 은선과 현재도 3J라 일컬어지는 제니스 조플린, 짐 모리슨, 지미 핸드릭스와 같은 록의 거장들을 좋아한다. 이들은 “저항과 인간애”로 가득한 록스피릿(Rock Spirit)의 인격적 구현에 해당한다. 이 작품에서 록은 88 서울올림픽에 버금가는 의미가 있다. 올림픽 준비로 전국이 떠들썩하던 8월 중순, 아담과 현재는 그 열기에 휩쓸리는 대신 자살한 로이 부캐넌의 추모식을 연다. 모래밭에 기타를 내려 놓고 석유를 끼얹으며, 그들은 부케넌의 ‘메시아는 다시 오시리’를 듣는 것이다. 지극히 소박한 이들의 추도식을 통해, 이들 세대에게 록음악은 88 서울올림픽을 능가하는 성스러운 의미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장정일 소설 ‘아담이 눈 뜰 때’.
장정일

파시스트적 가속도의 세계에 비한다면 아담과 현재가 만들어가고자 하는 세계는 너무나 미약하다. ‘아담이 눈뜰 때’에서는 ‘유리의 성’이라는 소설이 아담과 현재가 만들어 가고자 하는 방을 설명하기 위해 소환된다. ‘유리의 성’(현대문학, 1970.6)은 소설가 최상규의 작품으로 소년들이 집 안에 물을 가득 채운 후, 그것을 얼려 기존의 집을 부수고 유리의 성을 만든다는 내용의 환상소설이다. 이 작품은 소년들과 어른들, 유리의 성과 기존의 집이 대립항을 이루며, 일상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세계로 비상하려는 강렬한 의지를 드러낸다. 그러나 물이 얼어 만들어진 ‘유리의 성’이 곧 녹아내릴 수밖에 없듯이, 아담과 현재가 섹스와 음악으로 만들어가는 ‘유리의 성’ 역시 지속되기는 어렵다. 결국 그 지속불가능성이 현재에게서는 자살로 나타나며, 아담에게서는 ‘가짜 낙원’에 대한 처절한 인식으로 드러난다. 아담은 현재의 자살 소식을 듣고 소리 내어 울며, “가짜 낙원에서 잘못 눈을 뜬 아담처럼, 내 이브는 창녀였으며, 내 방은 항상 어둡고 습기가 차 있다. 어쩌다 책이 썩는 냄새를 없애려고 창문을 열면, 네온의 십자가 아래서 세상은 내방보다 더 큰 어둠과 부패로 썩어지고 있다.”는 절망적 인식에 도달하는 것이다.

‘아담이 눈뜰 때’에서 이러한 파시스트적 가속도의 세계를 대변하는 대표적인 인물은 바로 형이다. 대학과 대학원에서 모두 A만을 받은 형은, “여기선 아무것도 더 기대할 게 없다.”며 미국으로 간다. 지하상가의 화장실 바닥을 밀대로 미는 어머니의 모습을 한 번도 바라보지 않았던, 그러면서도 왠만한 혁명서적은 모두 독파했던 형은 “고향에서 서울로, 서울에서 뉴욕으로” 날아간 것이다. 어쩌면 형은 “우주인과 두뇌 싸움을 하려고 지구 밖으로 날아가려 들지도” 모르는 사람, 즉 파시스트적 가속도에 자신의 몸을 온전히 맡긴 존재인 것이다. 그러고 보면 아담의 몸과 이미지를 빼앗고, 아담이 원하던 ‘사춘기’라는 그림은 있지도 않은 뭉크 화집을 화대로 지불한 중년의 여성 화가는 언제나 파리나 뮌헨 혹은 뉴욕에 “언젠가는 돌아갈 거야.”라고 다짐하곤 했다. YMCA에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멋들어진 강연을 한 평론가도 “미국으로 이민”을 가고 없다.

아담은 어머니가 그토록 원하던 일류대학에 합격함으로써, 잘난 형이나 평론가처럼 파시스트적 가속도에 동참할 길이 열린다. 그러나 아담은 서울의 빌딩숲을 오가는 사람들에게서, 기성질서의 논리를 충실히 수행하다가 결국 미쳐버린 ‘탬버린 치는 사내’를 발견할 뿐이다. 심지어 서울에서는 사정조차 불가능하다. 낯선 사람들 사이에서 심한 두통만을 느끼는 아담의 모습은 젊은 시절 장정일의 모습과도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원재길의 회고에 따르면, ‘아담이 눈뜰 때’가 배경으로 삼은 1988년 여름에 대구에서 장정일을 만났을 때, 장정일이 서울에 대해 썩 좋지 않은 인상을 받았으며 “그곳 생활에서 맛본 두려움이 너무도 커서, 자기최면을 걸듯이 ‘죽어도 서울은 안 간다’고 거듭 못박았다.”(‘파리’ 1996년 겨울-내가 만난 장정일, 작가세계, 1997년 봄, 34면)는 기억을 전하고 있다.

결국 아담은 형처럼 뉴욕으로 심지어는 우주로도 갈 수 있는 가속도의 세계에 몸 담기를 거부하고, “한없이 느리고 덜그럭거리는 보통열차를 타고” 대구로 내려가 작가가 된다. 이것은 “내 온몸으로 이 세계의 가속도에 브레이크는 거는 일”이며, “가짜 낙원을 단호히 내뿌리치고 잃었던 낙원, 실재, 진리를 되찾는” 일에 해당한다. 아담은 ‘가짜 낙원’의 작가가 됨으로써, 가속도의 세계에서 진정성을 찾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아담의 결심은 이후 장정일의 행로를 통해, 1990년대 한국문학의 한 진경으로 솟아오르게 된다.

 

최연소 김수영문학상 수상자인 장정일은 1962년 경북 달성에서 태어나 대구에서 중학교를 다녔다. 1984년 무크지 ‘언어의 세계’에 시를 발표하며 문단 활동을 시작했고, 1987년엔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희곡 ‘실내극’이 당선됐다. 세상을 바라보는 독창적 시각으로 주목받은 그는 시집 ‘햄버거에 대한 명상’ 소설 ‘그것은 아무도 모른다’ ‘아담이 눈 뜰 때’ ‘내게 거짓말을 해봐’ 등을 썼다.

/문학평론가 이경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