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가 개원되면서 각 지자체마다 현안사업 해결에 총력을 쏟고 있다. 새로이 당선된 지역 국회의원과의 정책간담회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형국책사업의 지역 유치에 정치권의 협조를 구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 사례로 보면 대형 국책사업 유치는 정치적 영향력이 좌우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누가 정권을 잡느냐에 따라 국책사업은 국가의 전략적 당위성보다 정치적 셈법이 우선했다. 지난해 부산·울산지역으로 결정 난 원전해체연구소 본원이 그러했다. 원전해체연구소 입지로 경북만큼 적합성이 높은 곳이 없으나 경북은 배제됐다. 국내 원전의 절반이 있으며 한수원 본사 등 원전관련 기관이 집중된 곳이라는 장점은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최근 청주 오창으로 결정 난 1조원 규모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사업도 정치권의 세 싸움에서 경북은 일찍부터 뒤로 밀렸다. 기존의 방사광 가속기로 정책의 시너지 효과가 높다는 사실은 후순위 고려사항이었다. 사업공고부터 특정지역에 유리한 평가지표가 발표됐다. 전남 나주에 설립키로 한 한전공대도 국가의 정책적 입장보다는 정치적 고려가 먼저였다. 학생 수 감소로 대학의 연쇄도산이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1조원이 넘는 한전공대 설립은 한전의 자금난 속에서도 설립이 강행된다. 공약이라는 이유로 다른 여건은 고려가 안 된다.

경북은 원전해체연구소와 영일만대교 건설 등 국책사업 유치와 관련해 많은 실패를 경험했다. 특히 현 정부 들어 정치적 고려 때문인지 알 수 없으나 국책사업 유치 실패가 잦다. 그렇다고 국책사업 유치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 이럴 때일수록 더 좋은 기획력과 준비로 중앙 정부를 설득해야 한다.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두고 전국의 지자체가 벌써부터 준비에 나서고 있다고 한다. 경북과 대구도 이런 상황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한다. 국책사업이 정치적 변수에 좌우도 되지만 중앙정부를 설득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역량도 무시할 수는 없는 것이다. 공공기관 지방이전은 지역도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또 한번의 기회다. 지역실정에 맞는 기관 유치를 위해 충분한 준비와 역량을 키워가야 한다. 정치적 영향력이 적다고 포기할 일은 아니다. 노력하고 준비한 만큼의 성과는 반드시 있게 마련이다. 철저한 준비가 최고 경쟁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