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환경청 연구결과 발표
“사체서 중금속 미량 발견됐지만
떼죽음의 직접적 중독 요인 없어”

안동댐 왜가리 폐사는 질병이나 중금속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구지방환경청은 안동댐 왜가리 폐사원인 분석 연구용역 결과 이같이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대구청은 안동댐 상류 지역에 있는 왜가리 번식지에서 폐사체가 지속 발생함에 따라 지난 2018년부터 중금속 등에 의한 폐사 여부를 밝히고자 연구에 착수했다.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의과대학 연구팀은 지난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11개월에 걸쳐 안동댐 지역 7개체, 타지역(봉화·영주) 4개체 등 총 11개체를 대상으로 병원체 검사, 중금속 검사, 외상 및 내장부검 등 3개 분야에 대해 정밀 분석을 했다.

병원체 검사결과에서는 대장균, 살모넬라 및 가금콜레라와 같은 세균성 질병의 감염은 없었고,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AI)도 확인되지 않았다. 또, 수은, 납, 카드뮴, 비소, 구리, 아연, 니켈, 세슘, 크롬 등 9개 항목의 중금속 분석결과 카드뮴과 비소는 미검출됐고, 그 외에 중금속은 미량 검출됐다.

특히 안동댐 인근 왜가리와 타지역 왜가리를 비교할때 일부 항목에서 안동댐 인근 왜가리의 체내 중금속 농도가 약간 높았으나 유의성 있는 중금속 수치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게다가 조사된 중금속 농도가 왜가리의 생리활성에 비정상적 요인으로 작용할만한 수치로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수은은 안동댐 인근 왜가리에서는 0.63㎍/g으로 대조군인 타지역(봉화·영주) 왜가리 0.28㎍/g보다 높게 검출됐으나, 폐사가 일어날 수 있는 농도(8.5㎍/g) 보다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및 내장부검 결과는 육안적 병기검사 가능한 개체는 심장, 간, 폐 등 모두 정상이었고 이상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일부 개체에서 관찰되는 날개와 다리의 출혈과 머리부분 천공은 둥지에서 떨어지거나 다른 동물에 의한 공격으로 생긴 것으로 추정했다.

아울러 문헌조사 결과 모든 조류의 67%는 여러 가지 이유로 첫해에 사망하는 특징이 있으며, 왜가리의 평균수명은 약 5년 정도로 출생 후부터 2세까지 살아남을 확률은 약 26%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와 대구지방환경청은 왜가리 폐사 원인분석 외에도 낙동강 상류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을 위해 다양한 조사·연구를 실시 중이다.

정경윤 대구지방환경청장은 “이번 연구는 2017년과 2018년에 폐사한 왜가리 사체를 확보하기 어려워 2019년에 폐사한 왜가리들을 주 대상으로 한 한계는 있다”며 “앞으로 왜가리 번식지 보호를 위해 안동시와 협의해 보전대책을 마련하는 등 지속적으로 야생동물 안전관리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심상선기자 antiphs@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