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생활방역정책 발표에 맞춰 정부보다 한층 더 강화된 ‘시민참여형 상시방역 정책’을 별도로 발표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의 특별담화 형식으로 발표된 시민참여형 방역체계에는 지하철, 버스, 택시 등 다중이용 교통수단과 공공시설을 이용할 시에는 마스크 쓰기를 의무화하는 것을 포함해 공연장, 도서관, 체육시설 등의 휴관을 추가 연장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특히 초중고의 등교수업과 관련 대구는 고3만 빼고 등교연기를 교육청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져 성사 여부가 관심이다. 예식장 등 민간시설에 대해서도 원칙적으로는 행정명령보다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는 것이 대구시의 방침이지만 영업의 지장초래 등의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대구시가 전국 도시와 다르게 생활방역 정책을 강화내지 연장한 것은 코로나19의 상황이 타 지역보다 더 위중하다는데 근거한다. 권 시장도 “대구는 더 엄중하니 조금만 더 참고 조심하자”는 말로 시민의 동참을 호소했다.

그러나 시민의 반응은 다양하다. 힘들더라도 더 참고 견디자는데 동의하는 사람도 있으나 파산 직전에 몰린 자영업자 등은 반대 목소리를 낸다. 더 이상 인내 요구는 파산하라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등교수업에 관해서도 학부모의 반응은 가지가지다. 맞벌이 부부들은 더욱 난감하다. 학생들의 학습공백을 더 미룰 수 없다는 반응과 안전을 위해 더 인내하자는 쪽도 적지 않다. 이 같은 반응과 논란이 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시민 안전을 위한 대구형 생활방역체계가 논란에 따라 흔들릴 수 있으며 생활방역 유지에 대한 불안감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좀 더 세심한 준비와 노력이 필요하다.

대구는 전국 코로나19 확진자의 63%가 발생했으며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가 가장 집중된 곳이다. 언제 어디서 또다시 집단감염이 발생할 지 알 수 없다. 대구시의 대구형 생활방역체계가 필요한 이유다.

그러나 코로나19로 80여 일을 참아왔던 시민의 일상복귀 열망도 만만치 않다. 행정명령보다는 주민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적 배려가 우선돼야 한다. 대구시민은 코로나 이후 세계가 칭찬한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주었다. 대구형 생활방역은 시민의 자존심을 지키고 시민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