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의 장막은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소련을 중심으로 떨어져 나간 공산국가진영의 폐쇄성을 풍자한 표현이다.

1946년 영국 윈스턴 처질 총리가 미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양극단 체제로 인한 냉전시대를 빗대어 철의 장막이란 표현을 쓰면서 더 유명해진 말이다. 실제로 종전 후 독일은 동독과 서독으로 갈라졌고, 헝가리와 오스트리아도 국경을 장벽으로 서로가 막아섰다.

1989년까지 세계는 공산주의와 자유주의로 나누어져 팽팽한 긴장과 대립관계를 견지했다.

중국을 죽의 장막으로 표현한 시절이 있었다. 중국 공산주의의 폐쇄성을 중국 명산물인 대나무와 비유해 쓴 표현이다. 90년대 중국이 개혁·개방 정책을 대외적으로 내세울 때까지 중국은 죽의 장막에 가려진 나라였다. 그 이후 중국은 경제 개방정책에 힘입어 지금은 세계 최대 경제대국으로 올라섰다. 지난 40년 동안 중국은 국내 총생산이 155배가 증가했고, 8억 명이 넘는 사람이 빈곤에서 탈출했다.

공산주의 국가로서는 유일하게 장막 속에 가려진 나라를 치면 북한을 손꼽을 수 있다. 북한은 그 오랜 폐쇄성으로 권력세습을 통한 체제의 유지가 가능했다. 70년 동안 3대에 걸친 세습은 지구상에서 유일하다. 하지만 폐쇄성으로 인해 정보와 사람이 오가지 못해 경제적으로는 여전히 빈국 수준에 머물러 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둘러싼 건강 이상설이 2주째 난무하고 있다. 지난 15일 태양절(김일성주석 생일)에 금수산 태양궁전 참배에 불참한 이후 지금까지 행방이 묘연해 억측도 가지가지다. 사망설에서 뇌사상태, 식물인간, 중국의료진의 진료설과 건재하다는 등 종잡을 수 없는 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체제의 폐쇄성이 보여준 북한의 또다른 진면목이라 하겠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