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생활 속 거리두기’(생활방역) 시대에 회사와 학교 등 사회집단이 지켜야 할 기본수칙을 제시했다. 공동체 등에서 일어날 집단감염 방지를 위해 방역관리자를 지정하고 공동체에 맞는 방역지침을 마련해 구성원의 발열 등 건강상태를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기본수칙 외 사무실, 대중교통, 음식점, 쇼핑시설, 결혼식장, 장례식장, 체육관 등 집단시설 별 지켜야 할 수칙은 담당 부처별로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라 한다. 또 24일에는 생활 필수영역에서의 지침 20여 종이 공개될 것이라 한다. 정부가 생활방역으로의 전환을 결정하기 전 수칙을 공개하는 것은 사회적 공론화가 절대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제시한 수칙이라도 내용에 따라 얼마든지 논쟁거리가 될 소지가 있다는 이유다. 우리 사회는 이제 생활방역으로 가는 길목에 서 있다. 5월 5일 사회적 거리두기가 만료되는 시점에 생활방역 체제로 바로 넘어갈지 알 수는 없으나 생활 속 방역체제는 이제 우리가 선택해야 할 과제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다소 진정국면에 접어든다 하더라도 종전과 같은 일상 생활은 당분간 힘들다는 것이 방역당국의 설명이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앞으로 2년은 더 갈 수 있다는 가정이 성립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가올 겨울에 2차 대유행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예측이다.

두 달 가량 지속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지금 국민의 피로감은 많이 누적돼 있다. 정부의 생활방역 체제 전환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큰 까닭도 이런 이유에서다.

생활방역의 영역이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 국민이 지킬 수 있는지 여부 등이 신중히 검토돼야 한다. 더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내용이 공론화 과정을 통해 검증돼야 보다 안정적 생활방역 체제 유지가 가능하다.

부처님 오신 날과 어린이 날로 이어지는 황금연휴가 방역체제 전환의 마지막 고비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지켜온 방역수칙 준수 수준을 유지하도독 범국가적 계몽 활동이 이어져야 한다. 혼돈의 과거가 되풀이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코로나19로 파생한 생활방역 시대는 정부의 슬기로운 정책과 국민의 자율준수 및 실천이 관건이 된다. 충분한 공론화 과정은 현장의 혼란을 막는 최선책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