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은 급변하는 기업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효율적 구조혁신 과정이다. 말인즉 혁신적 조직개편이라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인력감축이나 임금삭감 등이 주요 골자다.

1997년 IMF 외환위기를 경험한 우리사회는 구조조정에 대한 트라우마가 아직 남아 있다. 선거가 끝나자마자 기업의 구조조정 쓰나미가 몰려오고 있는듯한 분위기다. 현대자동차가 임원의 급여 20%를 회사에 반납키로 결정했다. 현대차 그룹 51개 계열사 1천200여 명은 이달부터 당장 급여를 줄여서 받게 된다. 코로나 사태로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진데 대한 선제적 대응조치라 했다.

IMF 외환위기 직전의 상황을 연상케 하는 풍경이다. 그 당시 우리경제는 대마불사라는 대기업이 여지없이 쓰러지고 금융기업의 부도가 발생하는 미증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대구에 본점을 둔 대동은행의 도산도 이때 빚어진 참사다.

총선의 열기는 사라지고 어느덧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쓰나미급 경제위기가 지금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 감염증 사태로 발이 묶인 항공사와 관련업계는 직원들에 대한 대규모 유급휴직을 시작했다. 대기업마다 희망퇴직, 부동산 자산의 매각, 신규투자 동결 등의 조치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IMF 때 겪었던 악몽 같은 그림자들이 벌써 우리 앞에서 어른거리고 있는 것이다.

정부가 100만 명 공무원의 내년도 임금 동결을 검토하는가하면 대통령과 장차관급 고위공직자의 급여도 4개월치 반납을 결정했다. 이른바 고통분담이라는 미명을 앞세워 공공분야의 구조조정도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더이상 물러설 곳 없는 서민경제는 사면초가다. 고통분담할 것도 없다. 경제 쓰나미에 대응할 어떤 대책도 없다. 걱정만 커갈 뿐이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