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경제학자 로버트 프랭크와 필립 쿡이 함께 쓴 ‘승자독식사회’는 고도자본주의 사회에서 빚어지는 양극화 문제점을 꼬집은 책이다. 0.1초의 차이로 올림픽 금메달과 은메달이 갈라지고 금메달 수상자가 모든 것을 독차지하는 현실이 과연 바람직할까 하는 의문에서 현대사회의 문제를 진단한 것이다.

“세상은 1등만 기억 한다”는 말처럼 우리 사회는 여전히 승리한 자가 모든 것을 가져가는 보상구조가 판치고 있다. 승자독식은 능력 차이로 보상을 받는다는 긍정적 측면도 있다. 하지만 미미한 차이가 엄청난 소득의 차이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빈익빈 부익부’의 문제가 늘 따라다닌다.

미국은 다른 나라에는 없는 대선에서 승자독식이라는 독특한 제도를 가지고 있다. 일반 유권자가 직접 뽑은 각 주의 대통령 선거인단이 대통령을 선출하는 방식이다. 선출된 선거인단은 단 1명이라도 더 많이 뽑힌 쪽이 주에 배정된 선거인단을 모두 독식하는 제도다.

전체 유권자 득표에서 이겨도 선거인단 확보 수에 밀리면 낙선도 한다. 몇 번의 그런 사례도 있었다. 2000년 당선된 부시 대통령이 이런 경우다.

21대 총선에서 민주당을 포함 범여권의 국회의원 당선자가 190명에 달했다. 반면에 통합당의 범보수권은 110석을 얻는데 그쳤다. 거의 더불 스코어 수준이다.

그러나 선관위가 집계한 정당 투표수를 보면 더불어 민주당과 미래통합당간 득표율 차이는 8.5%다. 8.5%의 표차가 결과적으로 국회의원 80석 차이로 나타난 것이다. 소선거구제가 가진 승자독식체제의 결과물이다.

21대 총선 결과를 놓고 해석이 분분하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민심을 바로 볼 줄 아는 정치인의 혜안이 아닐까 싶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