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예천에서 지난 8일 확진자가 확인되면서 일주일 사이 20여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 긴장감을 높이고 있으나 국내 전체적인 확진자 증가는 안정세다. 대구서는 8일째 코로나19 확진자 증가가 한자릿수에 머물렀다. 이번 주초 정세균 국무총리는 “주 후반 그간 진행된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성과를 평가하고 생활방역체제로의 전환 여부를 논의 할 예정”이라 밝혔다. 생활방역체제란 일정 정도의 일상생활 활동을 허용하면서 감염 예방과 전파차단 활동을 함께 하는 생활 방식이다. 코로나19의 장기전에 대비하는 방역망이다.

정 총리는 이날 “생활방역은 코로나19 이전 삶으로의 복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예전과 같은 일상은 상당기간 어쩌면 영원히 돌이킬 수 없는지도 모른다”고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우리의 일상을 새로이 바꾸게 될지도 모른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지금과 같은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무한정 유지할 수도 없다. 생활 속의 사회·경제활동이 보장돼야 하는 것도 우리가 가야할 길이다. 이미 한 달 가까이 유지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시민들 간에는 피로감과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적지 않은 상태다. 19일로 마감되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면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연장하거나 생활방역체제로의 전환을 선택해야 한다.

방역 모범국인 싱가포르가 개학을 하면서 다시 위기를 자초한 사례는 우리가 반면교사 삼을 만하다. 섣부른 결정보다 차분한 준비가 먼저다. 전문가의 의견부터 청취하는 신중함이 필요하다.

21대 총선이 끝나면서 우리의 코로나 일상이 상당히 느슨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사회 곳곳에서 그런 징후들이 감지된다. 예천군의 경우 확진자들이 식당이나 술집, 목욕탕 등을 돌아다녔고 선거 운동원으로 활동한 것도 확인됐다. 자칫 방심하면 코로나 바이러스의 재확산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대목이다.

특히 해외발 감염이 아직 변수로 남아 있다. 우리사회 곳곳에서 이 같은 방역의 고삐가 늦춰진다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을 맞을지 모른다. 코로나 방역망과 관련, 지금부터 개학과 직장, 식당, 대중교통 등 우리사회가 감당해야 할 부분에 대한 꼼꼼한 준비가 있어야겠다. 정교하고 효과적인 안전예방 수칙이 준비돼야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