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국회가 거대 양당으로 재편됐다. 4년 전 제20대 총선에서 제3지대 돌풍을 일으켰던 ‘제2의 국민의당’은 없었다. 결국, 정의당이 내세웠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취지는 실종됐다.

15일 발표된 지상파 3사의 출구조사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의 비례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은 16~20석, 미래통합당의 비례정당인 미래한국당은 16~21석 확보가 예상된다. 정의당은 4~7석, 국민의당 2~5석, 민생당 0~3석, 열린민주당 0~3석이 관측된다.

국민의당 비례대표 후보 26명 중에서는 1, 2번인 최연숙 계명대 동산병원 간호부원장, 이태규 전 의원 정도가 ‘금배지’를 거머쥘 것으로 보인다. 당 소속 현역 의원만 20명에 달하는 민생당은 한 석도 얻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민생당은 손학규 상임선대위원장이 ‘공천 순번 2번’에 이름을 올렸다가 내리는 해프닝도 있었다. ‘진짜 친문(친문재인)’을 자처했던 열린민주당도 1석 이상을 얻느냐 마느냐의 갈림길에 섰다.

당초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정의당과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등 군소정당이 도입을 주장했다. 지역구 의석수가 많은 정당일수록 비례대표 의석을 보전받기 어렵게 하겠다는 것이 취지였다. ‘4+1 협의체’가 패스트트랙에 안건을 올렸고, 필리버스터를 거쳐 지난해 12월 본회의를 통과했다.

하지만 정의당 등이 주도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스스로의 발등을 찍은 셈’이 됐다.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등이 위성정당을 만들면서 편법(?)을 동원했기 때문이다.

특히, 유권자들은 “국민을 위한 정책이 아니라 권력을 더하려는 군소정당의 꼼수”라는 인식에 냉정한 선택을 했다.

지역의 한 관계자는 “정의당과 민생당은 다당제 강화라는 대의보다 스스로의 의석수를 늘리는 데만 몰두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제20대 총선에서는 새누리당이 17석을 얻었고 민주당이 13석을 획득했다. 또 국민의당 13석, 정의당 4석으로 나뉘었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