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을 마무리하며

4·15 총선이 막을 내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함께 치러진 이번 총선은 대권 경쟁, 수도권 압승론 등 수많은 이슈를 남겼다. 아울러 코로나19와 연관된 포퓰리즘 논란을 비롯해 후보 사이에 터져 나온 막말과 네거티브는 선거를 혼탁한 상황으로 만들었다.

그동안 ‘보수의 텃밭’, ‘보수의 본산’ 등으로 불렸던 대구와 경북은 ‘소득 없는 결과표’만 받았다.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등 여야 거대 정당은 ‘TK(대구·경북) 패싱 논란’에 마지못해 지역을 찾았다. 특히, 코로나19 사태의 최대 피해지역인 대구와 경북을 어루만져주려는 제스쳐는 찾아볼 수 없었다.

지난 13일 포항 등 경북을 찾았던 민주당 이낙연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장과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사실상 ‘생색내기 방문’에 그쳤다. 지난 14일 대구를 방문한 미래통합당 박형준 공동선대위원장도 ‘읍소전략’만 펼치며 ‘변함없는 지지’를 호소했다. 하지만 ‘막말’에 단호한 징계를 요구했던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의 “자가격리 당할까봐 (대구와 경북을 못간다)”는 ‘실언’은 지역민에게 큰 상처만을 남겼다.

사실상 ‘보수 싹쓸이’라는 결과를 안아든 대구와 경북은 향후 4년 간 ‘정치 변방’에 머물 가능성이 농후하다. 지난 2월과 3월에 진행된 통합당발 ‘공천 학살’이 대구와 경북의 ‘미래 정치력’을 앗아간 것이다. ‘선수 = 정치력’으로 통하는 국회라는 정치의 장에 대구와 경북의 목소리가 얼마나 통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드는 부분이다.

통합당 소속으로 ‘금배지’를 거머쥔 당선자들은 다음을 위한 ‘공약 이행’에 뛰어들 것이다. 하지만 수도권에 밀리고 호남에 치이며 부산·경남·울산 등에 억눌릴 수 밖에 없다.

당선자 3분의 2 이상이 초선 국회의원인 경북에서는 3선 이상이 맡는 상임위원장도 전무할 수 밖에 없다. 그나마 지역별로 자리를 나누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한 두자리 낄 수 있음이면 다행이다.

반면, 매해 국비 예산을 따내야 하는 대구시와 경북도의 공무원들은 아쉬움을 느낄 것이다. 몇몇 지자체에서는 “초선 의원에게 말해도 예산을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는 자조섞인 푸념이 곳곳에서 들려올 것이다.

물론 국회의원은 독립된 입법기관이다. 때문에 대구와 경북 유권자들은 미래통합당 등 보수정당에 어김없는 지지를 보였다. ‘그래도….’라는 유권자들의 선택이었다.

일말 기대도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지역에 터를 잡고 사는 사람으로서 ‘텃밭 또는 본산’이라고 불리는 만큼의 대접을 바라는 것이 욕심일까. 만약, 그것이 욕심이라고 한다면 2년 또는 4년 후의 선거에서는 ‘충격’이 있지 않을까도 한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