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화진<br>영남대 객원교수·전 경북지방경찰청장
박화진
영남대 객원교수·전 경북지방경찰청장

‘쉘 위 댄스’ 춤추실래요? 감미롭고 낭만적인 말이다. ‘쉘 위 악수’ 악수 가능하세요? 공생을 위한 몸부림의 말이다.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변한 생활 패턴 중 하나가 악수하는 것을 주춤거리는 것이다. 가장 효과적인 방역 방법이라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경각심이 일상화 되고 있다. 신체적 접촉 행위인 악수 관행이 타격(?)을 입고 있다. 평소처럼 손을 내밀다가도 혹시나 하는 마음에 서로 눈치를 보게 된다. 현대인의 악수는 만남의 전위행위이다.

악수란 신체적 접촉행위로 친근감과 신뢰감을 표시한다. 더하여 서로의 온기를 느낄 수 있어 그 유래에 비해 간편하고 좋은 인사 방법이다. 악수는 손에 무기가 없다는 표시로 상대방에 대한 적의가 없음을 표시하는 행위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무기는 오른 손으로 잡으니 악수는 오른 손으로 하는 것이 원칙. 또한 전쟁행위는 주로 남자들이 하니까 악수는 두 남자의 행위였다고 한다. 연장자, 상사, 여성이 먼저 청하는 것이 악수예절이다. 선거철이면 선량 후보자들이 갑자기 친한 척하기 시작한다. 유권자에게 다가가 손을 내밀며 표를 호소한다. 대선주자급이면 너무 많은 사람과 악수를 하여 손이 퉁퉁 붓고 밤이면 그 통증에 시달린단다.

그 통증이 대수랴? 한 표가 중요한데. 선량 후보자들은 유권자들과 악수를 하다가 보면 감이 온단다. 그래서 더욱 악수에 매달리게 된다. 악수와 목례의 반복행위를 하는 선량후보자들의 눈길을 살펴본다. 그들이 진정으로 국민을 위한 선량의 마음인지 표를 얻기 위한 제스처인지. 악수하는 사람과의 눈맞춤에서 진심어린 마음을 나눌 수 있을 터인데 눈길은 다음 악수할 사람에게 미리 옮겨가 있는 것을 보게 된다. 표를 얻기 위한 쇼를 하는 것 같아 씁쓸한 마음이 든다. 권위주의 시절 사관학교나 경찰간부 임용식 예행연습이 떠오른다. 정부의 고관들이 참석하는 행사에서 신임장교나 초임경찰 간부들이 고관들과 돌아가며 악수를 하는 순서가 있다.

‘손은 잡는 듯 마는 듯할 것이며, 눈은 상대의 인중을 봐야한다’는 엄격한 악수통제로 예행연습 때 진땀을 뺀 적이 있다. 악수가 친근감과 격려의 표시보다는 충성서약을 하는 의식이었던 것 같다.

몸에 밴 일상속의 악수가 코로나 바이러스사태로 변이를 일으키고 있다. 손바닥을 펼쳐서 무기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던 행위가 전염이 두려워 주먹을 쥐고 서로 마주치는 것으로 바뀌고 있다. 현재 상황을 서로 의식하고 공유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면이 있다. 하지만 주먹을 상대방에게 보인다는 사실이 자칫 전투태세를 연상시킨다. 가뜩이나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인사가 전투적으로 변하는 건 아닌가하는 감정비약까지 하게 된다. 상황의 위중함을 감안하면 손을 잡는 악수가 주먹을 치는 인사로 바뀌는 것이 당연한 일일지 모르겠다. 일상의 무료함을 달래려는 ‘쉘 위 댄스’ 영화 제목처럼 ‘쉘 위 악수’라는 말로 상대방의 동의를 얻고 악수하는 불편을 감수하거나 주먹치기하는 어색한 인사를 피하려면 코로나 바이러스 조기종식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 아니면 접촉을 삼가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올인 하는 게 낫겠다. ‘쉘 위 사회적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