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를 위협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경제충격이 힘없는 영세 자영업자들부터 덮치고 있다. 사태가 길어지면서 지난 3월 한 달 매출이 전혀 없는 자영업자가 무려 16%에 달했다. 견디다 못한 소상공인 절반이 폐업을 고민하기 시작하는 등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 치명적 불황의 끝을 가늠할 수 없다는 현실이 가장 큰 문제다. 정부가 이런저런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막연한 지원이 아닌 생태계 구조조정 문제를 포함한 별도의 전략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전국 소상공인 1천3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소상공인 16%가 지난 3월 매출액이 제로(0)였다고 응답했다. 6명 중 1명꼴로 단 한 푼도 벌지 못했다는 조사 결과는 자영업자들의 매출 절벽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역력히 보여준다. 긴급대출 1천만 원을 받으려는 소상공인 신청자가 왜 새벽부터 장사진을 이루는지 알 만한 일이다.

소상공인연합회의 조사 결과 코로나19가 6개월 이상 장기화할 경우 폐업을 고려할 것이라는 소상공인은 48.5%를 기록했다. 그 이전에 폐업할 예정이라는 응답도 23.9%에 달했다. 버틸 수 있다는 소상공인은 27.5%에 불과했다. 지난해 같은 시점에 비해 50% 이상 매출 피해를 봤다는 소상공인은 81.7%로 절대다수였다. 고용 감축도 심화됐다. 이미 고용원을 줄인 사업장만 전체의 45.5%였다. 추가로 고용을 줄이겠다는 응답이 40.7%였고 가족으로 고용 대체(38.7%), 현 상태 고용 유지(20.2%) 등의 순서였다.

소상공인들의 위기가 이미 깊어졌다는 증거는 이밖에도 넘쳐난다. 굳이 코로나가 아니었어도 최저임금 폭증 등의 여파로 영세 자영업자들의 생태계는 피폐해질 대로 피폐해져 있었다. 역병의 창궐이 불러온 상가 공동화 현상은 문자 그대로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세금을 쪼개어 푼돈이나 나눠주는 지금의 ‘언 발에 오줌 누기’식 대책은 근본 해결책이 못 된다. 차제에 종합적인 분석과 과감한 조치와 세밀한 사후대책 등 새로운 설계가 시도되는 게 맞다. 산업환경이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갈 확률은 희박하다. 지금처럼 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