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유치원 초중고 개학일이 임박하고 있으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코로나 감염병이 시작한 초기에 비해 신규 환자 규모가 현격히 떨어졌다지만 아직은 보건당국이 통제할 수준에 머물지 못하고 있다. 장기전 대비가 불가피하다.

4월 6일 예정인 전국의 각급학교 개학일이 다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예정된 4월 6일에 강행하느냐 또다시 미루느냐 등으로 학부모의 이목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교육부는 개학에 대비해 각종 방역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개학을 하겠다는 확실한 의사는 아직 밝히지 않고 있다.

박백범 교육부차관은 정부청사 브리핑에서 “지금은 개학을 속단할 단계가 아니다”고 했다. “감염병의 확산 추세나 치료체계, 개학과 관련한 사회적 인식, 방역물품 확보 등 제반 여건을 살펴보고 개학을 판단하겠다”고 했다.

각급학교 개학이 집단감염의 새로운 도화선이 될 것을 우려해 당국도 감염병 추이를 예의주시하면서 판단하겠다는 뜻이다. 가까스로 불길을 잡은 전염병이 학교 개학을 계기로 새로운 고리가 된다면 그동안의 노력이 공염불이 되기 때문이다. 만약 개학을 연기한다면 법정일수 조정 등 원칙에 따라 2주 정도 개학을 더 미룰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대입일정 조정 등 학습공백으로 인한 혼란의 문제가 매우 심각해 질 수 있다. 학습공백으로 인한 학부모의 자녀 학습불안도 상대적으로 커져 교육당국에 대한 원망이 커질 수도 있다. 지금의 코로나 사태는 불가피하게 장기전 체제로 바꿔가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당국도 코로나 환자를 통제 관리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낮추는 데 집중하고 있다. 또 장기전에 대비해 생활방역 체제로 대응 방식을 전환할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접촉자 차단에 중점을 둔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지속 가능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바꾸는 방식이다.

교육당국은 개학을 하든 또다시 미루든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라도 방역에 대한 확실한 준비를 해 학부모를 안심시켜야 한다. 이런 준비과정이 우리나라 방역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다면 더 좋은 일이다.

현재 미성년자 확진자가 500여명에 이른다. 학생의 안전보다 더 시급한 과제는 없다는 점 명심하고 준비에 나서야 교육의 문제도 극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