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7년 11월 19일, 캘리포니아 산 퀜틴 교도소에는 수감자 2천400명이 연극 공연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44년 만에 교도소에서 연극을 공연하는 일대의 사건이라, 죄수들은 모두 흥분에 휩싸여 있었습니다. 교도소 측이 선택한 연극은 ‘고도를 기다리며’였습니다. 이유는 단 하나. 여자 배우가 등장하지 않기 때문이었지요. 이 작품은 유럽에서 이미 개봉한 상태였는데 평론가들의 반응은 탐탁지 않았습니다. 파리, 런던, 뉴욕의 지적인 관객들마저 혼란스러워했던 작품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죄수들은 이 작품에 열광했습니다. ‘산 퀜틴 뉴스’ 편집자는 이렇게 썼습니다.

“죄수들은 무게가 총 642파운드인 근육질 마차가 무대에 등장하고, 여자들이 나오고 우스갯거리가 진행되길 기다리고 있었다. 그와 비슷한 것이 전혀 일어나지 않자, 죄수들은 심하게 분노하며 폭동을 일으킬지 몰랐다. 그러나 상황은 정반대였다. 그들은 연극에 온통 마음을 뺏겼으며 모두 깊은 감동을 하였다.”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 두 주인공이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대사를 주고받으며 고도를 기다린다는 내용입니다. 끝내 고도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고도 ‘가 누구냐는 질문에 극작가 사뮈엘 베케트는 “내가 그걸 알았으면 극에 분명히 썼을 거요!”라고 대답했습니다.

주인공이 기다렸던 고도는 과연 누구일까요? 죄수들은 석방과 자유라고 즉각 이해했습니다. 현대인들은 자신의 속박을 풀어줄 그 무엇을 고도에 투영합니다. 신(神)일수도 화폐일 수도, 이데올로기일 수도 있습니다.

사람들의 이런 약한 마음을 이용해 얽어매는 사악한 집단이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만천하에 드러난 사이비 집단의 실체도 보았습니다. 고도를 기다리며 살 수밖에 없는 우리 인생. ‘달콤한 미혹’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살 것인가 캐물으며 홀로서기를 해야 할 때가 아닐까요?

/인문고전독서포럼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