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 한동대 교수
장규열 한동대 교수

‘엄마가 널 사랑한다고? 그거, 확인해!’

시카고트리뷴(Chicago Tribune)지 본사 복도에 걸린 현수막이다. 누가 어머니의 사랑을 의심할 수 있을까. 하지만, 저 현수막은 언론이 하는 일 가운데 ‘확인하고 확인하는 일’ 만큼 중요한 일도 없다는 걸 강조한다. 생각 속에 그 어떤 확신이 있다고 해도, 사실로 확인하지 않고는 보도하지 말라는 것이다.

‘확인은 모든 언론행위의 본질이다.’ 하버드대학에서 언론 관련 이슈들을 다루는 니먼재단(Nieman Foundation)이 보고서에 적은 한 줄이다.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이런저런 실수들이 혹 있을 수도 있겠으나, ‘확인’에서만큼은 물러서지 않겠다는 다짐이 언론인들에게 요청되는 바이다.

신뢰는 어디서 오는가. 옥스퍼드대학의 언론연구소가 38개국 국민들의 언론신뢰도를 조사했다. 한국은 겨우 22퍼센트의 국민들이 언론을 신뢰할 수 있다고 답하여 최하위를 차지했다. 한국인의 거의 80퍼센트가 언론보도를 믿지 못한다는 것이 아닌가. 언론을 믿지 못하겠으면 우리는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 독자의 신뢰를 먹고 살아야 하는 언론이 시민들에게 믿음을 주지 못한다면 어찌해야 하는가. 날마다 시간마다 보고듣는 언론보도를 시민들이 그리 신뢰하지 않는다는 게 아닌가. 언론이 누리는 ‘언론자유’지수는 향상되고 있다는데,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얻지 못한다면 누구의 책임일까. 한 영국인 프리랜서 기자는 ‘한국언론이 형편없다’는 혹평을 하면서, 부실한 출처확인을 지적하였다고 한다. 외국인의 눈에도 확인부실이 보인다면 누가 책임져야 하겠는가.

언론뿐일까. 확인없이 쓰고 읽고 나누고 소통하는 일. 생각없이 받아들인 책임은 독자에게도 있다. 살피지 않고 나누고 마는 대중에게도 책임은 있다. 세상이 변한 줄 모르고 수동적으로 보도를 수용하는 일을 이제는 멈추어야 한다. 언론이 또 다른 권력임에 틀림이 없으므로, 견제와 균형은 언론에도 적용해야 한다. 신문에 났거나 방송에서 보았으므로 그대로 믿어주던 시절이 있었다. 언론기관이 독자 대중의 눈과 귀를 좌우하던 시절이 있었다. 디지털과 온라인의 도래는 심대한 도전으로 다가와 바뀌지 않고는 배길 재간이 없다. 소문과 확신으로 써 내리는 기사는 사라져야 한다. 양심을 빙자하여 진영논리에 갇힌 기사는 그만 보고 싶다. 공정하고 투명하여 사안의 넓은 지평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길 바란다. 확인에 들인 노력을 확인하고 싶다.

길은 본질에 있다. 언론은 독자의 신뢰를 먹고 산다. 힘있는 자들을 향한 매서운 감시와 분명한 견제를 실행하려면, 언론의 본질로 돌아가야 한다. 코로나19 상황을 지나며 우리 언론이 보는 시각과 해외 언론이 평하는 바가 어떻게 비교되는지도 살펴야 한다. 확인을 생명으로 한 언론 보도와 느낌을 배경으로 한 소설 쓰기는 다를 수 밖에. 확인을 토대로 우리 언론이 시퍼렇게 살아나기를 기대해 본다. 확인이 사라지면 언론이 아니다. 언론이 없으면 민주주의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