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코로나19로 ‘마스크 5부제’가 실행 중이다. 차량 5부제는 익숙하지만, 마스크 5부제는 어색하고 떨떠름하다. 고도의 물질문명 세계에서 마스크를 구하려고 5일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마스크를 사지 않겠다고 다짐한다. 마스크가 필요한 사람을 위해 자기나 가족 몫으로 할당된 마스크를 구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고마운 일이다.

쓰임새로 본다면 마스크는 나보다는 남을 보호하겠다는 의미가 강하다. 마스크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서 침의 분말이 공중으로 날아가지 않도록 하기 때문이다. 가까운 거리에 있는 타인의 기침이나 재채기가 날아올 수도 있다. 재채기나 기침할 때는 옷소매로 입을 가리라고 보건당국이 권고하는 까닭은 그래서다.

그럴 바에는 마스크를 쓰는 편이 훨씬 효율적이고 안전하다. 마스크 대란(大亂)이 일어난 까닭이 거기 있다.

청도 화양읍 토평리에 홀로 사는 할머니가 마스크를 쓰고 앞마당을 배회하는 풍경은 다소 비극적인 데가 있다. 한 달 넘게 폐쇄된 경로당에도 못가고, 아낙들이 마실 오는 일도 없어진 마당에 마스크를 쓰고 살아가는 양상은 우울하다. 5일 장에 나가야 구할 수 있는 마스크는 어디서 나온 것일까?! 대처(大處)에서 살아가는 자식들이 보내줬을 터다. 그것은 언론이 앞다투어 보도한 마스크 ‘사재기 광풍(狂風)’과도 관련 있을 것이다.

문제는 다른 곳에 있다. 코로나19가 전염되는 경로 가운데 코보다 치명적인 부위는 손이다. 손은 몸 가운데서 가장 활용도가 높고 가장 더러운 부위다. 손을 묶어버리면 우리는 그야말로 속수무책(束手無策)이 되어버린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다. 손으로 만지지 않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시라. 신발 안에 모셔져 있는 발과는 쓰임새가 천양지차다.

영화 ‘컨테이젼’은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여러 생각 거리를 제공한다. 2020년 코로나19를 빼다 박은 것처럼 닮은 상황도 나온다. 그 가운데서 내가 중시하는 대목은 손이다. 어린 돼지를 다루다가 앞치마에 대충 손을 문지르고 나온 주방장과 악수하는 등장인물. 그녀의 손과 맞닿은 사람들이 하나둘 죽어 나간다. 이내 세계 전역으로 감염병이 퍼지고 대혼란이 발생한다.

영화 끄트머리에서 우리는 감염병의 근원을 알게 된다. 바나나 서식지를 공격받은 박쥐가 돼지농장에 날아가서 배설한다. 어린 돼지가 박쥐 배설물을 먹고, 돼지는 주방장에게 전달된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숙주(宿主)로 지목된 동물이 돼지와 박쥐였으니 족집게처럼 보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문제는 바이러스의 숙주가 아니라,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경로인 손이다.

주방장의 손에서 시작된 바이러스 전파경로는 2020년에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만지는 세상의 온갖 물건을 통해서 바이러스는 전파된다. 우리는 하루에 3천번 정도 얼굴을 만진다고 한다. 손은 얼굴을 만지기 전에 무엇을 만졌을까?! 명심하시라. 마스크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손을 잘 씻는 일은 훨씬 더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