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 이전 문제 해결
코로나19 사태 종식 등
지역 여론 수렴·조정하는
중량감 있는 인사 필요 여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지역 여론을 수렴하고 관철시킬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그 역할은 누가 맡을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대구·경북에서는 그동안 설득력 있는 인사들이 ‘좌장’ 역할을 해왔다. 지난 1998년 대구 달성에서 정계에 입문했던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2년 대통령에 당선될 때까지 실질적인 대구·경북의 구심점으로 활동했다. 박 전 대통령은 지역의 지지세를 바탕으로 대통령에 도전했고 성공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발을 들였던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은 동생인 이명박 전 대통령의 등장과 함께 지역의 ‘좌장’이 됐다. 그는 대구·경북을 위한 국비 확보에 있어 막후의 조율사로 통했다.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도 한때 사실상의 구심점이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부터 내리 5선을 지낸 강 전 대표는 한나라당 대표를 역임하면서 이명박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 사이의 문제를 정리하며 지역현안들을 챙겼었다.

김관용 전 경북도지사도 상당 기간 지역의 중심으로 활동했다. 민선 구미시장과 3선 경북도지사를 거친 김 전 지사는 임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영향력을 발휘, 대구경북을 이끌었다. 2017년 제11대 전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을 맡으면서 더욱 보폭을 넓힌 김 전 지사는 이번에 김형오 전 국회의장 이전에 미래통합당 공천관리위원장으로 낙점설이 돌기도 했으나 원외여서 한계가 있다. 박창달 전 의원과 최경환 전 의원, 문희갑·김범일 전 대구시장 등도 재임 당시 적잖은 역할을 한 것으로 꼽힌다.

그렇다면 2020년 현재 대구와 경북에는‘좌장’은 누굴까.

지난 20대 총선에서 ‘진박 논란’과 함께 상당수 다선 의원들이 정리된데 이어 때 구심점 역할을 기대했던 유승민(대구 동을) 의원은 바른미래당으로 당적을 옮기면서 설득력을 상실한 상태. 유 의원은 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 당분간 역할에 한계가 있다.

2018년 지방선거를 통해 당선된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권영진 대구시장에게 시선이 쏠리기는 하나 아직 좌장 반열에는 주저하는 분위기가 더 많다.

이명박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이 있긴하나 국정농단 등의 사태를 겪으며 재판이 진행 중이어서 역시 나설수 없는 상황이다. 박 전 대통령은 ‘옥중 서신’을 통해 “거대 야당을 중심으로 뭉쳐달라”고 했지만, 과거와 같은 여론의 반등은 기대하기 어려운게 현실. 이에 따라, 시·도민의 상대적 박탈감도 상당하다. 대구와 경북의 현안을 책임지고 추진할 수 있는 중량감 있는 인사가 없기에 다소 혼란스럽다.

지역의 한 관계자는 “포항지진특별법의 통과에도 상당한 시일이 소요됐고, 대구경북신공항 이전 문제도 명확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다”면서 “지역의 문제를 조율하고 지역간 이견을 정리할 수 있는 좌장이 존재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물론, 대구 수성갑 지역구에서 김부겸 의원이 당선된다면, 5선 국회의원이다. 하지만 50%를 넘나드는 미래통합당에 대한 지역 지지세를 감안하면, 대구와 경북의 구심점이 될 수 없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래통합당의 지역 관계자는 “‘좌장’이나 ‘구심점’이라기 보다는 지역의 문제를 조율하고 화합시킬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고, 지역을 위해서는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