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그레이 감독의 ‘애드 아스트라’

1977년 8월 20일 보이저 2호는 미국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를 이륙해 지구를 떠난다. 돌아올 수 없는 편도행 티켓이다. 목성과 토성, 천왕성을 지나 해왕성을 끝으로 2018년 11월 5일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우주로 진입했다.

기약없는 42년의 여정에 이어 인류가 만든 피조물 중에서 가장 멀리 날아간 것이다.

지구로부터 182억km. 빛의 속도로 하루가 걸리는 거리의 어디쯤에서 목적지 없는 여정을 계속하고 있을 것이다.

만약 보이저 2호가 감정을 지닌 유정물이었다면 어땠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42년의 여정에 그는 무슨 생각을 하고, 어떠한 감정으로 주어진 임무에 임했을까. 깊어지는 우주의 깊이만큼 그의 고독한 내면의 깊이는 어느 정도였으며 어떻게 바라보았을 것인가.

제임스 그레이 감독의 ‘애드 아스트라’는 근미래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우주의 지적생명체를 찾기 위한 ‘리마 프로젝트’를 수행하다 실종된 아버지를 영웅이라 믿으며 우주비행사의 꿈을 키운 미 육군 소령 ‘로이 맥브라이드’가 아버지의 생존을 접하게 되면서 아버지를 찾아 태양계의 끝자락 해왕성으로 향한다. 자신의 아버지가 벌인 위험한 실험이 인류를 위협할 사태를 유발하면서 그를 막아야 하는 임무를 맡게된다.

불의의 사고로 동료들이 모두 죽고 로이는 혼자서 기나긴 여정에 돌입한다. 그 여정 속에서 우주의 빈 공간만큼 넓고 깊은 내면의 고독과 마주한다. 그는 그 깊고 넓은 공허 속에서 자신이 지구에 두고 온 것을 되새기고 지나온 모든 삶을 반추한다. 이와 함께 어떠한 결말에 도달할지 모르는 아득한 두려움이 뒤섞인 감정들을 느낀다.

구조적으로 ‘애드 아스트라’는 프란시스 포드 코풀라 감독의 ‘지옥의 묵시록’을 떠올리게 한다. 베트남 전쟁이 한창일 때, 미 특수부대 윌라드 대위는 밀림에서 복귀하지 않는 커츠 대령을 암살하라는 임무를 받고 메콩강을 따라 캄보디아의 길고 깊은 밀림으로 향하는 기나긴 여정을 시작한다.

‘지옥의 묵시록’의 윌라드 대위는 여정을 따라 참혹한 전쟁의 참상과 상상을 초월하는 충격적인 사실을 직면한다. 그의 내면에 가득한 두려움과 공포 속에서 여정의 끝자락에 당도한다. ‘애드 아스트라’의 로이 소령 또한 두려움과 함께 내면의 심연에서 올라오는 공허의 공포 속에서 여정의 끝자락에 당도한다.

두 영화의 구조는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의 저서 ‘황금가지’를 떠올리게 한다. 절대자가 있고, 그 절대자를 무너뜨리고 다시 그 자리를 차지하는 구조다. ‘지옥의 묵시록’에서 커츠 대령은 자신을 암살하기 위해 온 윌라드 대위에게 “공포와 친구가 돼야 한다. 적이 돼서는 안 된다”라고 말한다. 커츠 대령 역시 밀림의 여정에서 느꼈던 공포를 어떻게 다스렸는가를 피력하는 말이다. 그리고 “자네가 날 죽일 권리는 있지. 허나 날 심판할 권리는 없네”라고 말하며 죽음을 받아들인다. 여기까지 두 영화의 구조는 유사하지만 결말은 다르다.

“그는 없는 것만 찾았고 눈앞에 있는 건 보지 못했다”라고 말하며 ‘애드 아스트라’는 절대자였던 아버지가 구축한 세계의 이면을 본다. ‘아름답고 장엄하며, 경이롭고 신비’롭지만 그 내면이 텅 비어버린 “사랑과 믿음도 빛도 어둠도 없는” 공허의 공간을 목격한 것이다.

‘獨樂堂(독락당) 對月樓(대월루)는 / 벼랑꼭대기에 있지만 / 예부터 그리로 오르는 길이 없다. / 누굴까, 저 까마득한 벼랑 끝에 은거하며 / 내려오는 길을 부셔버린 이.’ 조정권 시인의 시 ‘獨樂堂(독락당)’ 전문이다. 영화 ‘지옥의 묵시록’이 ‘내려오는 길을 부셔버린’ 절대 고독의 경지에 머무를 때, ‘애드 아스트라’는 “이제 소중한 것에만 집중하며 살 겁니다”라고 먼 길에서 돌아와 일상에 안착하는 결말에 이른다.

깊고 먼 우주로 들어서는 용기. 우주의 심연으로 들어가면서 스스로의 내면으로 침잠할 수 있는 용기. 외부의 모든 것들을 차단하고 자신을 고독의 심연으로 밀어넣었을 때 찾아오는 ‘사건’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용기를 보여준다. ‘애드 아스트라’는 결말이 다른 ‘지옥의 묵시록’의 SF버전이다. /문화기획사 엔진42 대표

* 제임스 그레이 감독의 영화 ‘애드 아스트라’는 IPTV와 네이버 구글에서 감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