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작은 항구도시 칼레시는 돋보이는 시민정신의 일화로 유명하다. 1347년 영국의 공격에 항복한 칼레시는 굴욕의 시간을 맞는다. 에드워드 3세 영국 왕은 완강히 저항했던 칼레시에 대한 보복으로 귀족 신분을 가진 6명을 교수형에 처할 것을 선포했다. 그 대신 시민의 목숨은 살려두겠다 했다.

아무도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을 때, 칼레시의 최고 부자가 먼저 자청했다. 그러자 칼레시장과 법률가 등 다섯 명의 귀족이 잇따라 동참을 선언했다. 칼레시민을 감동시켰던 이 사건은 오늘날까지 칼레시민의 위대한 정신으로 계승되고 있다. 시민의식은 시민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의 생활태도나 행동양식이다. 보통 그 지역 사람의 에티켓이나 도덕심을 잣대로 삼는 경우가 많다.

60~70년대 한국인에게 붙여진 ‘코리안 타임’도 시간을 제때 지키지 못한 한국인의 부족한 시민의식을 꼬집은 유행어다. 선진국이라고 시민의식이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니다. 부자나라도 시민의식이 부족한 경우가 종종 있다. 칼레시에서 보여준 귀족들의 책임의식과 희생정신이 바로 높은 시민의식이다.

시민의식은 위기상황일 때 잘 드러난다.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19 감염사태는 우한시를 초토화 시켰다. 중국정부가 도시봉쇄를 발표하자 외신을 통해 전해진 그곳 현장의 소식은 아비규환과 혼돈 그 자체였다.

미국 ABC 방송기자가 코로나19와 싸우는 대구를 방문해 쓴 기사가 화제를 모았다. “이곳은 두려워하는 군중도 없다. 절제심 강한 침착함과 고요함만이 있을 뿐”이라 전했다. “대구시민의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고 느낀 대로 적었다 한다. 외지인이 보는 성숙한 대구 시민의식이야말로 코로나19 극복의 진정한 힘이라 할 것이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