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병상 부족으로 자가격리 중 숨지는 일이 잇따르자 정부 당국이 뒤늦게 정책을 수정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그동안 코로나19 환자의 증상 경중에 관계없이 모든 환자를 입원치료 해왔던 진료체제를 중증도에 따라 분리하기로 지난 2일 결정했다.

환자의 경중 상태 등을 따져 경증환자는 민관 숙박시설을 활용한 국가 지정 생활치료센터에서 진료를 받게 하고, 중증환자는 병원에서 집중 치료해 사망자수를 줄이는데 역량을 모으기로 한 것이다. 지난달부터 건의했던 대구시와 의료계의 요구를 정부가 이제야 수용한 것이다.

지난달 22일 대한의사협회 등이 경증·중증 분리 의견을 냈을 때만 해도 확진자는 전국적으로 400여명에 머물렀다. 지금은 확진자가 5천여명으로 급증한 상태다. 지침을 바꿨다지만 생활치료센터 시설확보가 가능할지가 당장 걱정이다. 정부 대책이 늑장을 부리다 골든타임을 놓쳐 생긴 문제라 하겠다.

대구의 경우 3일 현재 코로나 확진자수는 3천명을 넘었다. 병원 입원환자 1천50명을 제외하면 2천명 이상이 병상이 없어 집에서 대기 중이다.

현재 대구시가 준비한 생활치료센터는 대구 신서혁신도시의 중앙교육연수원 160실과 삼성인재개발원 영덕연수원, 농협경주교육원, 문경서울대병원인재원 등을 활용한다 해도 710실에 불과하다. 정부의 경증 중증 분리 지침에 따른다 해도 상당수 환자는 여전히 집에서 격리해야 할 형편이다.

생활치료센터가 정상 가동되려면 의료진 확보도 필수다. 가동에 들어간 중앙교육연수원 치료센터는 의사 4명 등 23명의 의료진이 맡고 있다고 한다. 대구시가 정부에 요구한 병상 3천개를 기준으로 보면 추가로 400명 이상의 의료진이 더 필요하다. 치료를 이원화 한다지만 숙제는 여전히 수두룩하다.

정부는 코로나19 대응을 심각단계 격상부터 갈팡질팡했다. 중국의 눈치를 보다 중국인 입국금지를 늦추고 제한적 조치로 끝내버린 점도 국민의 비판을 자초했다. 특히 국민이 가장 예민해하는 마스크 공급에조차 실책을 연발하는 바람에 국민의 원성이 자자하다. 정부의 뒷북 대책이 이처럼 계속된다면 코로나19 잡기는 어렵다. 이 판에 정부가 대응을 잘한다는 식의 복지부 장관 발언까지 나오니 한심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