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실 경증 치료시설 첫 입실
지역 대기 환자 2천여 명 넘어
추가적 확보 감안해도 태부족
중증 환자 거부 시·도 ‘패널티’
강경 대책에도 실효성은 의문

정부가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병실부족 사태 해결을 위해 뒤늦게 경·중증 분리치료 대책을 마련했으나 역부족이란 지적이다. 지역의 공공시설을 경증환자 치료를 위한 생활치료시설로 지정하고 중증환자 치료를 거부하는 자치단체를 처벌하는 등 강경 대책까지 꺼내들었으나 확진자 증가 추세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다.

대구시는 2일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이날 오전 0시 현재 3천81명으로 전날 오후 4시 대비 377명이 늘어났다고 밝혔다.

전체 확진자 3천81명 중 대구에 847명, 광주, 경북, 경남, 대전 등에 203명 등 1천50명이 입원했다. 입원 대기 확진자는 2천31명으로 언제 생활치료센터에 들어갈지도 몰라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또 아직 진단검사를 위한 검체검사를 실시한 2천652건 중 298건은 검사가 완료된 반면 2천354건이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신천지 신도 5천500여명은 아직 검체검사가 예정돼 있어 확진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여 경증환자 격리치료 시설 확보가 시급하다. 이 같은 추세를 고려하면 대구에서는 3천개 이상의 생활치료센터 병상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대구시가 확보한 경증환자 격리치료 시설인 중앙교육연수원 생활치료센터는 병상이 160개에 불과하다. 대구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도 병상이 없어 집에서 기다리는 환자는 2천여명에 달한다.

이에 시에서는 삼성인재개발원 영덕연수원·농협경주교육원·문경 서울대병원인재원 등 4개의 생활치료시설로 확보했으나 이마저도 860여실에 불과하다.

영덕의 삼성인력개발원은 총 203실 규모로 이번주 중에는 문을 열 수 있도록 추진 중이다. 100실 규모의 문경 서울대학교병원 인재원도 이번주 중 개원할 예정이다. 이는 집에서 기다리는 2천여명의 경증환자의 50%도 격리하지 못하는 수준이어서 경증환자 중 상당수는 다시 자택에서 대기하는 상황이 불가피하게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생활치료시설을 추가로 마련하기 위해 대구은행 연수원을 비롯한 지역 내 연수원 등에 대해서도 생활치료시설로 이용을 검토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도 추가적인 의료적 피해가 없거나 생활상 불편이 크지 않을 경우 2인1실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입원 중인 경증환자를 위해 경북대학교 병원 의료진과 공중보건의, 간호사 등 총 17명의 의료인력을 배치해 센터에 상주하며 입소자들에게 지속적이고 주기적인 의료 증상 관리 등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방호복 세트 1천개와 라텍스 장갑, N95 마스크 3천개 등도 구비됐다.

4개 중증도 중 무증상 또는 경증환자가 입원 대신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고 격리식 방역·증상 추이 관찰에 주력하기 위한 공간으로 중앙교육연수원은 경증환자 분류 및 배정 상황에 맞춰 순차적으로 입소할 수 있도록 준비를 마친 상황이다.

또한 대구·경북 지역에서 코로나19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중증환자를 다른 지역 병원으로 보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정부 대책도 필요하다. 현재 대구 경북에는 중증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병실 공간도 포화상태에 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코로나19 중증환자 수용을 거부하는 지방자치단체는 처벌하겠다는 강경방침을 정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최중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전국의 병상은 국가적 자산”이라며 “병상은 지역의 자산이기도 하지만 생명을 소중하게 여기고 살리는 것은 어느 한 지자체의 책임이 아니라 국가가 공동으로 짊어져야 하는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김 총괄조정관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망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의료진이 환자가 위중하다고 판단하면 지역 내에서 병상을 최대한 확보하고 그렇지 못할 때는 국립중앙의료원의 판단을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