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을 58일 앞두고 자유한국당·새로운보수당·전진당이 합친 113석 규모의 미래통합당(통합당)이 닻을 올렸다. 비례대표용 자매 정당으로 미래한국당(5석)도 있다. 그러나 중도보수 통합으로 불리는 미래통합당의 출범이 유권자들에게 곧바로 절절하게 다가오는 것은 아니다. 물리적 이합집산 이상의 감동이 아직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뭘 하겠다는 건지, 캄캄한 나라의 미래를 밝혀줄 청사진이 무엇인지 국민은 지금 묻고 있다.

미래통합당의 출범은 2017년 1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여파로 새누리당이 분열된 이후 3년 만에 보수 진영이 뭉쳤다는 데 의의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쉽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컸지만 ‘문재인 정권 폭주 저지’라는 명분이 정치인들을 움직였다. 한국당과 새보수당이 신설 합당 형식의 창당을 결정했고, 이언주 의원이 이끄는 미래를향한전진4.0(전진당) 등이 동참했으며, 옛 국민의당의 일부 세력에 3개 청년정당이 가세했다.

하지만, 이 같은 외견상 요소를 놓고 자화자찬이나 아부성 덕담에 마음을 빼앗길 때가 아니다. 역설적이게도, 반대세력들이 늘어놓고 있는 야멸찬 악담 속에 길이 있다.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대변인은 “총선용으로 급조된 이합집산 정당, 탄핵을 불러온 ‘도로 새누리당’으로 회귀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대안신당 김정현 대변인은 “‘박근혜 탄핵’의 원죄를 어떻게 씻어낼지에 대해 분명한 답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의당 강민진 대변인은 “탄핵 부정 세력과 보수 정치 낭인들의 임시거처”라고 혹평했다. 민주평화당 박주현 수석대변인은 “한국당 중심의 흡수통합”이라고 평가절하했다.

미래통합당이 성공하려면 신당 창당이 ‘급조된 이합집산’, ‘도로 새누리당’, ‘보수 정치 낭인의 임시거처’, ‘한국당의 흡수통합’이 아님을 분명하게 입증하는 일부터 해야 한다. 그 지름길이 시대정신에 충만한 청사진을 펼쳐놓아 국민 감동을 폭발시키는 일이다. ‘닥치고 통합’ 행태의 범주를 확실하게 벗어나야 한다. 건강한 수권정당으로서의 역량과 도덕적 지표를 명확하게 입증할 미래비전을 하루빨리 제시해야 한다. 시간이 결코 넉넉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