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지영 포스텍 산학협력교수·산업경영공학과
곽지영 포스텍 산학협력교수·산업경영공학과

얼마 전 방송된 모녀의 이야기가 많은 사람들을 울렸다. 7살의 어린 나이에 혈액 암으로 세상을 떠나버린 딸 나연이와 엄마가 가상현실(VR)기술의 도움으로 만나게 되는 내용이었다.

한 줄짜리 프로그램 요약과 짤막한 예고편 만으로도 눈물이 왈칵 쏟아지고 목이 메었다. 본방송은 차마 보지 못하고 며칠 지난 후에야 찾아보았다. 본방 시청률은 높지 않았지만, 방송사 유튜브(Youtube) 채널 영상의 조회 수가 800만에 육박했다고 하니, 많이들 비슷한 마음이었나 보다.

비판의 글도 보였다. 사람들의 감정을 상업적으로 이용했다거나, 남은 자녀들에게 너무 가혹했다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나연이 엄마의 블로그는 너무 많은 관심이 쏠려 비공개로 돌렸다고 한다. 관점이 다른 사람들이 쏟아낸 댓글에도 적잖이 시달렸으리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짤막한 영상이 많은 이들의 공감을 이끌어 낸 것은, 누구에게나 대상이 다를 뿐 꿈에서라도 좋으니 얼굴 한번 봤으면 싶은 사람은 있기 때문일 것이다. 꼭 삶과 죽음이 아니더라도 공간적 거리나 다른 여러 이유들로 만날 수 없어 사무치게 그리워하는 사람 말이다.

주변에서 빨리 잊으라고 닦달해도, 시간이 아무리 지나도, 존재는 결코 잊히지 않는다. 좋았던 기억은 희미해져서 사진 속에만 남고, 오히려 내가 했던 나쁜 말과 행동, 못해준 것, 꼭 그런 것들만 오래 생각난다. 잊었다 싶다가도 생활 속 사물들이 문득 그 사람을 떠올리게 한다.

우리 가족에게는 외할머니가 그런 존재이다. 돌아가신지 삼십년이 다되어가는데 아직 그 이름만 떠올려도 눈물부터 글썽거린다.

골목길, 철 대문, 석류나무 한그루만 봐도 할머니 생각이 나서 운다. 대문을 ‘딸랑’하고 열어젖히고 ‘할머니’하고 부르면, 맨발로 석류나무 앞까지 달려 나와 구수한 안동 사투리로 “엄머이 싸암들아~”하며 맞아 주시던 외갓집 앞마당의 기억 때문이다.

길 가다 지구본을 봐도 목이 메어 온다. 불의의 사고로 돌아가시기 1주일 전 마지막 뵈었을 때였다. 다 낡은 세계지도를 펼쳐놓고 “이걸 들여다보고 있으면 시간 가는 줄 몰라”하며 환하게 웃으시던 모습을 보고, 아르바이트해서 하나 사드리려 마음먹었던 지구본을 끝내 못 사드렸기 때문이다.

한번만 더 생전의 고운 모습으로 움직이고 말하시는 할머니를 뵙고, “그때 제가 아르바이트해서 지구본 하나 사 드리려고 했는데 못해 드려서 아쉬워요”라고 한마디 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할머니를 모셔둔 산소에 가더라도 모습을 뵐 수는 없으니, 가상세계 속에서라도 한번만 만나고 싶다는 나연이 엄마의 마음이 같은 마음 아니었을까.

“아…. 한번만 만져봤으면 좋겠어….”라며 흐느끼던 나연이 엄마 얘기가 머리에 남아, 훌쩍이면서도 책을 뒤적여 가상 촉감 구현 기술에 대해 찾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