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들이 망할 것이란 말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한다.

저출산에 따른 인구절벽으로 이미 예측은 했지만 비수도권 대학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대규모 미달사태가 발생하는 일이 예상보다도 더 빨리 닥칠 것 같다는 말이다. 서울의 종로학원이 밝힌 자료에 의하면 2021학년도 대입 지역별 정원충족률을 보면 경북의 경우 59.7%로 나타났다.

고3 학생과 재수생을 포함한 2021학년도 대입진학 인원은 2만2천228명이나 경북 소재 대학의 모집인원은 3만7천207명으로 단순 숫자로만 1만4천979명의 학생이 부족하다. 충북 58.6%, 충남 56.3%, 강원 63% 등 지방도시 대학이 비슷하다고 한다.

그러나 입시업계가 분석한 2020년 학년도 대입 경쟁률 조사에 따르면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사립대의 모집학생 미달사태는 사실상 올 신학기부터 시작될 것 같다는 분석이다.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지방사립대 87곳 중 33곳(38%)이 경쟁률 3대1을 밑돌았다. 수험생이 정시모집에 가 나 다 한 곳씩 3개 학교에 지원서를 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경쟁률 3대1 미만은 사실상 모집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학교로 보아야 한다는 것.

4년제 대학의 사정이 이러니 지역소재 전문대학의 사정은 더 심각하다. 학령인구 감소 여파가 사실상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들이닥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대학측의 관측이다.

학생 수는 줄고 수도권대학 선호도는 높아져 이젠 지방대학이 설자리가 없어진거나 마찬가지다. 지방대학의 한 관계자는 2년 뒤 전국적으로 70개 대학 정도가 문 닫을 것 같다는 전망도 조심스레 내놓는다고 한다.

지방에 설립된 대학은 연구 활동을 통한 학문적 기여 외에도 지역사회 발전에 끼치는 영향력은 대단히 크다. 젊은 학생의 지역사회 참여로 도시가 활기에 넘치는 것은 물론이요 경제적 효과 또한 엄청나다.

대학정원 미달 사태는 학교를 폐교 위기로 몰고, 청년의 유출을 확산시키고 지역경제를 피폐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한다.

학령인구 급감이 가져온 지방소재 대학의 존폐문제 이젠 심각히 받아들여야 할 때다. 정부의 대응이 우선이지만 지역 차원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선 팔을 걷고 대응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