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대구 군공항 이전부지는 관련법률 및 합의된 기준과 절차에 따른 주민투표 결과를 존중한다”고 밝혀 사실상 의성 비안·군위 소보 공동후보지가 최종 후보지로 낙점됐다.

그러나 군위 우보를 단독후보지로 신청한 군위군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절차적 문제가 깔끔히 정리되기까지는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특히 군위군이 특별법을 근거로 법적 소송으로 이어 간다면 시일이 얼마나 걸릴지 알 수 없다. 대구경북의 미래 비전을 위해 시작한 통합공항 이전이 자칫 표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걱정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이런 점을 고려, 국방부의 사실상 후보지 결정에도 신중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단독 후보지가 탈락한 군위군의 입장을 이해하고 통합공항 건설에 따른 후방효과에 군위군이 소외감을 갖지 않도록 하겠다는 의도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500만 시도민의 여망을 담고 있는 사업이다. K-2 이전문제로부터 거슬러 가면 10여년이 걸린 사업이다. 9조원이 넘는 투자와 동시에 생산유발 효과가 30조원에 이르는 대형 프로젝트로 대구경북이 새롭게 도약할 절호의 찬스가 되는 사업이다. 모처럼 맞이한 기회를 지역 간 갈등으로 지체할 수는 없다.

후보지 선정투표 결과에 따른 갈등을 푸는 묘법을 하루속히 찾아야 한다. 어려울수록 근본으로 돌아가라는 말이 있다. 통합신공항의 근본은 대구경북의 상생발전에 있는 것이다. 상생발전의 대명제를 놓고 대구시, 경북도, 의성군, 군위군이 머리를 맞대는 것이 중요하다. 어느 한 지역의 발전을 논하는 것이 아니고 대구경북 전체의 발전을 같이 고민한다면 해법은 있다고 본다.

경북도는 신공항 주변에 민항관련 산업 및 연구시설이 들어서면 인구 2만의 배후도시가 만들어진다고 한다. 특히 민간공항 이전에 따른 물류와 교통, 관광산업 진작 등 경제적 시너지 효과가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신공항 건설이 주는 대변혁은 상상 이상일 수 있다. 대형사업 유치에 실패한 군위군을 보듬는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군위군에는 실리적 명분을 주고 의성군의 양보도 얻어야 한다. 지금 대구경북은 사상 최대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통합론을 꺼내고 있는 마당이다. 통합신공항 갈등부터 푸는 지역의 리더십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