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말 기준으로 경북도내 인구가 1만995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북도내 산업과 인력면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포항시, 구미시, 안동시의 인력 감소세가 뚜렷하게 나타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2019년 경북 시군별 주민등록인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경북의 인구는 266만5천836명으로 2018년 12월말 267만6천831명보다 1만955명이 줄어들었다. 그중 포항시가 2천988명, 구미시 1천752명, 안동시 2천128명이 빠져 경북도내 산업·행정의 중추도시가 인구감소를 주도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도시의 인구감소는 도내 전체 감소의 62%를 차지했다.

포항시는 지난해말 기준 50만7천25명으로 집계돼 2008년(50만8천119명)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포항시 인구는 2015년 52만160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점차 줄어드는 추세에 있다.

구미시의 인구도 지난해말 42만선이 무너진 41만9천742명으로 집계됐다. 2017년 42만1천799명으로 반등세를 보이는 듯했으나 결국 42만명선을 지키지 못했다.

포항과 구미는 경북 경제를 버티는 양대 축이라는 점에서 두 도시에서의 인구 감소가 주는 충격은 크다. 경북도내의 인구 감소는 저출산과 고령화 등의 영향도 있으나 포항은 철강경기 침체도 한몫했다. 또 2017년 11월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의 영향도 인구감소 이유다. 구미는 대기업의 수도권 이전과 수출부진 등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안동시는 경북도청이 이전하면서 행정 중심도시로 변모했다. 하지만 지난해 인구수는 되레 줄었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인구는 16만53명으로 전년보다 2천128명이 줄었다. 최근 4년간 안동시 인구는 9천169명이 줄었다. 경북도청 신도시로의 이전이란 측면에서 이해할 수도 있으나 도청 이전에도 불구, 도시의 성장세가 미약하다는 지적을 면키 어렵다.

포항시와 구미시는 경북의 성장동력 역할을 하는 곳이다. 두 지역 산업 활성화에 지원할 정교한 대책이 있어야 한다. 인구 감소는 국가 차원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지방정부 차원에서 지속적이고 근원적 대책 마련에 집중해야 한다. 인구수는 도시 경쟁력을 대표한다는 면에서 경북도내 중추도시의 인구 감소를 심각하게 받아 들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