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형 시인·산자연중학교 교감
이주형 시인·산자연중학교 교감

“겨울을 지내보아야 봄 그리운 줄 안다”라는 속담이 있다. 겨울의 다양한 의미를 잘 나타내는 관용적 표현이다. 이 속담이 가지고 있는 함축적 의미는 겨울은 성찰과 준비의 시간이라는 것이다. 겨울이 되면 하늘은 성찰과 준비에 집중하라고 기온을 점강적으로 내려 자연의 성장점을 잡는다. 그러면 나무를 비롯한 자연은 겨울로 거울 벽을 만들어 면벽 좌선에 들어간다.

면벽에 든 겨울나무의 깨달음이 깊어질수록 겨울은 더 엄동(嚴冬)으로 향한다. 무념무상에 든 자연은 겨울을 보낸 힘으로 봄을 그린다. 욕심 없는 자연이 그린 그림은 겨울을 난 모습 그대로이다. 바로 이것이 봄이 아름다운 이유이다.

그런데 그런 겨울이 사라졌다. 겨울 실종 소식으로 전국이 야단이다. 겨울 축제를 준비한 지자체와 단체들의 울상은 통곡 수준이다. 이상 기후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치부해버리기에는 그 심각성이 위험 수준을 넘었다. 겨울 추억이 바뀔 날도 멀지 않았다.

필자는 2020년 1월 7일을 오래 기억할 것 같다. 그날 필자는 한겨울에 여름 장맛비를 보았다. 이튿날 모든 뉴스의 머리기사는 겨울 홍수 피해 소식이었다. 정말 물 폭탄이 따라 없었다. 더 놀란 건 그날의 기온이었다. 그날 밤은 분명 겨울이 아닌 봄이었다. 밤 10시가 넘었는데도 기온은 영상 16도를 웃돌았다. 세찬 비와 함께 강한 바람이 불었는데 그 바람은 모든 봄꽃이 만개한 5월 하순의 따뜻한 바람이었다. 1월에 느끼는 5월은 낯섦이 아니라 공포였다. 그런데 우리에겐 실종된 것이 또 있다. 바로 교육이다. 겨울다운 겨울이 없듯이 우리에겐 교육다운 교육이 실종된 지 오래다. 정부는 아니라고 하지만 정권이 바뀔 때마다 우리 교육은 특정 정치 이데올로기에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면서 본래의 모습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누더기가 되었다. 본질을 잃어버린 교육은 흉기로 둔갑하였다. 정부가 휘두르는 교육 흉기에 학생과 학부모들이 치명상을 입고 있다. 필자의 말이 믿기지 않으면 겨울방학을 보내고 있는 학생들의 모습을 보면 된다. 종잡을 수 없는 교육정책은 학생들을 사교육 현장으로 내몰았다. 많은 학원이 자리가 없을 정도로 방학 특수를 누리고 있다.

필자는 교육에 상처받은 많은 이들과 지난주 이야기를 나누었다. 어떻게든 공교육의 끈을 놓지 않기 위해 수도권에서 산자연중학교를 찾은 한 학생에게 물었다. “학생에게 학교는 무엇인가요?” 학생은 한동안 말을 하지 않았다. 시간이 좀 지나고 작정한 듯 입을 열었다. “학교는 무섭고, 불안하고, 슬프고, 재수 없는 곳이요.” 학생의 눈엔 살기에 가까운 증오가 가득했다.

아프지만 필자는 그 눈빛이 낯설지가 않다. 우려되는 것은 눈빛의 강도가 매년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정말 이대로 가다간 지금의 학생 문제와는 비교될 안 될 끔찍한 사건들이 우리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지 않을지 걱정이다. 유난히 따뜻해 공포스럽기까지 한 1월 중순, 인간들의 이기심에 본질을 잃어버린 겨울이 정치 편향 교육 관료들에게 외치는 소리가 들린다.

“학생 없이 지내봐야 학생 그리운지 아는가! 억지 교육 정책들로 학생의 봄을 빼앗지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