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의 노령화 현상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러나 늙어만 가는 우리 지역을 마냥 두고만 바라볼 것인지 답답하다. 통계조사 결과가 발표될 때마다 젊은이가 떠나는 노령화 도시라는 자조만 하고 있을 것인지 난감하기 짝이 없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대구와 경북의 60세 이상 노인인구는 122만7천94명으로 집계됐다. 대구 56만1천258명, 경북 77만1천746명이다. 대구경북 전체 인구 510만3천867명(대구 243만8천31명, 경북 266만5천836명)의 24% 수준이다. 전국 평균 22.8%보다 높았다. 만나는 사람 4명 중 1명이 노인인구인 셈이다. 평균 연령도 대구는 42.9세, 경북은 45.6세로 전국 평균 연령 42.6세보다 모두 높다. 수도권의 인구 집중으로 대다수 지방이 비슷한 인구분포를 보이고 있다지만 이 문제를 이젠 더 이상 속수무책으로 바라볼 수만 없다.

지금처럼 노인인구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면 대구는 인구 240만명선도 곧 무너질 게 뻔하다. 문제의 심각성을 깊이 새겨 지방은 지방대로 중앙은 중앙대로 적극 대응에 나서야 한다. 노인 인구 증가는 세계 최저의 출산율과 더불어 젊은이의 지방도시 이탈이다.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젊은이를 붙잡을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지방은 생산성 추락은 물론이요 모든 도시가 활력 없는 도시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머잖아 내 고향이 소멸하는 현상을 직접 목격하는 불행한 일도 일어날 수 있다. 행안부 조사에서 그나마 평균 연령이 낮은 세종시와 울산, 대전 등은 공직자와 산업인력 비중이 비교적 높은 곳이다. 젊은이를 불러들일 지방정부 단위의 대책 마련이 급하다.

중앙정부의 역할은 더 막중하다. 지난해 연말 수도권 인구가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을 넘었다.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3개 지역 인구가 비수도권 14개 광역단체 인구보다 많아졌다는 것이다. 국가의 국토균형발전정책은 사실상 실패했다. 정부는 국토균형발전 전략을 새롭게 짜야 한다. 수도권 비대화가 초래할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더 이상 감내해서는 안 된다. 지방에 활력을 불어넣고 수도권괴 비수도권이 공생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지금 지방은 인구문제에 관한한 비상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