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들이 무조건 큰 병원만 찾는 대형병원 쏠림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내놓았다. 우선 전국 42개 대학병원의 위상이 ‘상급종합병원’에서 ‘중증종합병원’으로 바뀐다. 아울러 환자가 진료의뢰서를 갖고 대학병원을 찾아가는 게 아니라 동네 병·의원에서 진찰한 의사가 직접 안내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동네 병·의원을 업그레이드해 진료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감기만 걸려도 대형병원부터 찾고 보는 현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특히나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하는 ‘문재인 케어’ 도입 후 최근 2년간 쏠림 현상이 더욱 심화돼 왔다. 지난해 전국 대학병원의 진료비 수익은 13조 5천억 원으로 전체 건강보험 진료비의 27.7%를 차지했다. 2008년의 24.6%에서 10년 새 3.1%포인트 높아졌다. 반면에 동네 병·의원과 지방 중·소 병원은 만성적인 운영난에 시달리고 있다.

대형병원 쏠림현상의 부작용은 심각하다. 대학병원을 찾는 환자가 수술까지 2∼3개월을 기다려야 하는 게 예사다. 암 진단을 받은 환자가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받기까지 한 달 넘게 기다리는 경우도 보통이다. 대학병원 평균 진료시간이 4분 남짓에 불과하다는 통계도 있다.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응급 처방’ 수준에 불과하다. 환자들이 대형병원, 수도권 병원을 찾는 이유를 그렇게 단면적으로 헤아리고 토끼몰이식 정책으로 개선을 시도하는 것은 옳지 않다. 대학병원을 쉽게 가지 못하게 하거나, 경증 환자의 대학병원 치료비를 인상하는 등의 미봉책으론 한계가 있다. 지방환자의 수도권 병원 치료를 나라가 인위적으로 억제해 치료받을 권리를 침해하는 게 말이 되나.

환자들이 대형병원으로 몰리는 것은 미더운 동네병원이 없기 때문이다. 동네병원의 진료수준을 높이는 획기적인 대책을 찾아내야 한다.

동네병원에서 다 해결할 수 있다면, 누가 왜 큰 병원을 찾아 멀고 먼 길을 찾아 다니겠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서 그 부분을 집중적으로 해소하는 게 맞다. ‘원인처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