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한동대 교수
장규열 한동대 교수

온 나라가 한 가지 사안에 묶여버렸다. 대통령의 인사가 중요하지만 이처럼 모든 다른 뉴스들을 묻어가며 국민의 마음이 힘들어야 하는지. 정부의 3권 밖에서 감시와 견제, 취재와 보도를 균형있게 해야 할 언론은 어디 갔는가. 이 와중에 급속도로 국민의 믿음을 잃어가는 집단이 있다. 대학. 사회에서 대학은 무엇인가. 전공지식의 심화를 위하여 연구하고 개발하여 발전의 토대와 가능성의 지평을 넓혀가는 곳이 아니었던가. 다음 세대와 함께 호흡하며 연구성과와 학습역량을 쌓아 학생들의 개인적인 발전에도 기여하는 곳이 대학이 아니었던가.

젊은이들이 드넓은 학문의 세계와 치열한 담론의 지평을 만나며 학습과 연구로 견주고 연마하여 이전보다 성숙하고 독립적인 인격체로 성장하는 곳이 대학이 아니었던가. 그렇게 자란 인격체는 성인으로서 자신의 삶을 너끈히 책임지고 주변을 돌아보며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움직여 가도록 이끌어 내는 곳이 대학이 아닌가. 그래야 할 대학은 그 소명을 다하고 있는가. 대학에 어떻게 등수가 매겨지며 더 나은 대학이 따로 있을 수 있는가. 우리 대학은 언제부터 취업준비의 마당이 되어버렸는가. 부정이라도 저지르며 들어가고 싶은 대학은 대학인가 아닌가. 그런 줄 온 나라가 아는 터에 대학은 이에 대하여 한마디 언급도 없으며 무엇을 하겠다는 것인지 다짐도 보이지 않는다.

누구보다 대학이 스스로 돌아보아야 한다. 이 나라 교육을 누가 잘못하여 여기까지 왔는지는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어도, ‘대학과 대학입시’가 지극히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사실을 그 누가 부인할 수 있을까. 철학자 게리거팅(Gary Gutting)은 “대학이 과학과 인문학 그리고 예술의 모든 분야에서 ‘지성적인 문화’를 유지하고 개발하며 전수하는 마당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지성적인 문화’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잘 읽고 바로 쓰며 발견하고 개발하며 나누고 표현하는 능력을 대학에서 배우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 사회가 능동적이며 민주적으로 움직여 가는 바탕을 대학이 만들어야 한다. 그런 결과, 학생들은 선택에 따라 취업을 할 수도 있고 창업을 할 수도 있으며 세상과 더불어 든든하게 이웃과 함께 살아내는 건강한 인격체로 태어날 터이다.

대학은 각자의 정체성에 따라 다양한 교육과 연구 활동을 이어가야 한다. 교육부가 대학을 지원하겠다는 선의에 따라 대학의 운영과 활동에 제약을 가하는 일도 이제는 없어야 한다. 어려운 대학을 정부가 도울 수는 있어도 간섭과 제한이 적용되는 일은 사라져야 한다. 대학이 창의적이며 긍정적인 지향성을 가져 자율적으로 학풍을 만들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대학이 더 이상 입시부정과 같은 부끄러운 의혹과 혐의에 시달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대학의 이름을 간판삼는 허망한 기대도 사라져야 한다. 대학이 좋아도 개인은 노력해야 세상이 바뀐다. 나라와 나라의 교육을 살리기 위해서 대학이 그 본질부터 회복하여야 한다.

대학이 세상을 바꿔야 하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