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날 갑자기 시야가 하얗거나 뿌옇게 변하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지만, 외부활동이 늘어나는 여름철에는 특히 ‘각막혼탁’을 의심해볼 수 있다. 외부의 환경과 가장 맞닿아 있는 각막에 외상 또는 감염 등으로 염증이 생기는 경우를 의미한다. 각막에 흉터(반흔)가 생겼다고 해서 ‘각막반흔’으로 부르기도 한다.

각막에 혼탁이 생기는 경우는 감염, 외상, 속눈썹 찔림, 군날개(섬유조직 등이 날개 모양으로 각막을 덮으며 자라난 상태)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 감염의 경우 궤양이나 각막염 등이 생긴 부위에 비정상적인 각막조직이 대체되면서 혼탁이 발생한다. 이런 감염의 원인은 세균(포도알균, 녹농균 등), 진균, 바이러스(대상포진바이러스) 등으로 다양하다.

최근 10∼30대층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컬러렌즈도 각막혼탁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각막은 혈관이 없어 대기 중 산소를 공급받아 신진대사를 한다. 컬러렌즈를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각막이 저산소증에 빠지는데, 일종의 대안으로 혈관을 통해 산소를 공급받으려 한다. 이 과정에서 신생 혈관이 각막으로 침범해 들어오면 각막혼탁이 생신다. 신생 혈관에 의한 각막궤양이나 흉터는 제대로 치료가 된다고 해도 영구 각막혼탁으로 남을 수 있을 만큼 위험하다.

김지선 안과 전문의는 “컬러 렌즈는 착용 시간을 줄이면서 적절히 누액을 넣는 등 관리가 필요하다”며 “특히 속눈썹이 눈을 찌른다면 안과에 가서 뽑고, 건성안이 심할 때는 평소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게 혼탁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권고했다.

수많은 인파가 몰리는 수영장이나 워터파크도 눈 건강에는 치명적일 수 있다. 오염된 물에 의해 발생하는 ‘가시아메바 각막염’도 각막혼탁을 일으킨다. 각막에 이물질이 박혀 외상이나 염증이 생기는 경우도 각막혼탁을 부르는 흔한 원인이다. 특히 쇳조각처럼 부식이 쉬운 물질을 눈에 오래 방치하면, 제거 후에도 흉터가 남는 만큼 빨리 빼내는 게 중요하다. 또 위험한 작업 때에는 반드시 보안경을 써야 한다.

각막혼탁의 초기 증상으로는 통증, 분비물, 충혈 등이 꼽힌다. 비교적 혼탁의 농도가 짙고, 큰 혼탁이 각막의 중심 부위에 있는 경우에는 시력이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 방법은 혼탁을 일으킨 원인 질환 치료가 최우선이다. 세균 감염이 원인이라면 항생제로 염증 진행을 막으면 된다. 하지만 시력이 크게 떨어진 상태라면 다른 사람의 각막을 이식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다행히 각막혼탁이 심하지만 않다면, 나빠진 시력을 교정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김부기 안과 전문의는 “각막 혼탁은 어떤 단독 질환이라기보다는 다른 병의 후유증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각막 혼탁이 있어도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각종 눈 수술을 받을 때는 각막을 통해 이뤄지는 만큼 평소 본인의 각막 건강을 지키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바름기자 bareum90@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