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편의 시 하나의 풍경
인도와 김현승 시인

인도의 사이클 릭샤. 세상 모든 아버지는 자식을 위해 힘겨움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다.

이제는 한국 관광객들에게 익숙한 유럽과 북아메리카와 달리 아직은 ‘미지의 땅’으로 인식되는 인도. 여전히 물질이 아닌 정신의 우월성을 믿고, 세상 모든 사물에 신(神)의 숨결이 스며있다고 생각하는 인도 사람들.

운 좋게도 30일쯤 그 나라를 여행하며 인도의 속살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는 건 기자 인생 ‘최고의 행운’이라 해도 과장이 아니다. 그만큼 ‘인도 여행’은 기다리고 바랐던 것이었다.

짙푸른 남중국해 위를 날아 홍콩을 거쳐 도착한 인도의 ‘경제 수도’ 뭄바이(Mumbai). 그런데 이게 뭐지? 국제선 비행기가 오가는 공항이 한국의 조그만 도시 시외버스터미널 수준으로 조그맣고 지저분했다.

놀라움과 탄식은 공항에서 숙소로 가는 길 내내 이어졌다. 새벽 2시가 넘은 시간. 울퉁불퉁한 아스팔트 도로 위에 누워있는 수백 명의 사람들. 그 곁으로 씽씽 내달리는 차량. 대체 그들은 왜 집에 가지 않고 길에서 잠을 청하는 것인지….

적지 않은 돈을 주고 예약한 호텔도 마찬가지였다. 숙소의 문과 바닥 사이는 10cm쯤 떠있었고, 그 사이로 손가락 크기의 도마뱀이 들락거렸다. 창문 밖이 환하게 밝아올 때까지 그걸 지켜봐야 하는 심정이라니…. 여성 여행자라면 비명을 지를 게 분명했다. 기자 역시 당장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었다.

한숨도 자지 못하고 날이 밝자마자 호텔 로비로 내려갔다. 콧수염을 멋있게 기른 종업원이 조식을 제공하는 식당으로 안내해 따라갔는데, 콧속으로 스미는 낯선 향신료 냄새 탓에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 당연지사 어떤 음식도 먹지 못했다.

혼잣말이 나왔다. “TV에서 본 ‘인크레더블 인디아(Incredible India)’가 이제 현실로 다가왔구나.”
 

아버지의 마음

바쁜 사람들도
굳센 사람들도
바람과 같던 사람들도
집에 돌아오면 아버지가 된다

어린것들을 위하여
난로에 불을 피우고
그네에 작은 못을 박는 아버지가 된다

저녁바람에 문을 닫고
낙엽을 줍는 아버지가 된다

세상이 시끄러우면
줄에 앉은 참새의 마음으로
아버지는 어린것들의 앞날을 생각한다
어린것들은 아버지의 나라다

아버지의 눈에는 눈물이 보이지 않으나
아버지가 마시는 술에는 항상
보이지 않는 눈물이 절반이다
아버지는 가장 외로운 사람이다
아버지는 비록 영웅이 될 수도 있지만

폭탄을 만드는 사람도
감옥을 지키던 사람도
술가게의 문을 닫는 사람도

집에 돌아오면 아버지가 된다
아버지의 때는 항상 씻김을 받는다
어린것들이 간직한 그 깨끗한 피로.

인도 ‘사이클 릭샤’ 위에 오르다

허기진 상태로 거리로 나섰다. 다음 날 인도 중남부로 출발하는 기차를 예약하기 위해서였다. 뭄바이역(驛)으로 가는 길. 도로는 그야말로 ‘난리 북새통’이었다. 버스와 택시, 오토바이는 물론 소가 끌고 가는 수레까지 뒤엉켜 있는 상황.

패닉에 빠져있던 그때. 새까만 얼굴의 깡마른 사내 하나가 자전거를 개조해 만든 ‘사이클 릭샤(Cycle Ricksaw)’를 끌며 나타났다.

“어디로 가세요?”

“뭄바이역에 갈 겁니다.”

“타세요. 택시 절반 가격으로 모셔다 드릴게요.”

“그래요? 고맙습니다.”

“제가 감사하죠. 어서 타세요.”

그 조악한 ‘사이클 릭샤’의 뒷자리에 타고 20분쯤을 갔다. 달리는 내내 마음이 아팠다. 한국 중학생보다 조그만 사내의 등과 목덜미에서 흐르는 땀과 종아리 근육이 아프게 꿈틀거리는 걸 바로 목전에서 봐야 했던 탓이었다.

뭄바이역이 가까워질 무렵. 기자는 ‘인간’과 ‘신’이 맺고 있는 관계를 더없이 따스한 시선으로 끈질기게 탐구한 시인 김현승의 작품 ‘아버지의 마음’을 떠올렸다. 때때로 ‘아버지’란 인간에게 신을 대위(代位)하는 존재이기도 하기에.

김현승 시인은 기독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시를 썼던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대학교와 숭전대학교에서 교수로 일했던 그는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서정적이며 감각적인 작품 여러 개를 독자들에게 선보였다.

언급한 시에 드러나는 ‘아버지의 휴머니즘’은 적지 않은 독자들의 가슴을 흔든다. 왜냐? 바깥에서 보여지는 아버지의 다양한 모습이 자식들 앞에선 단 하나의 모습으로 합일된다는 것. 그 ‘지향’은 바로 맹목적인 사랑. 언젠가는 사라질 인간이란 존재의 덧없음을 바라보며 변하지 않는 가치로 눈을 돌렸던 작가. 그에게 세상이 사람들에게 주는 서러움과 즐거움이란 어떤 의미였을까?

신과 인간에 대한 회의와 신뢰를 번갈아 보여준 김현승 시의 가장 큰 미덕은 ‘맹목적 사랑을 지향하는 삶에 대한 낙관’이 아니었을까 싶다.
 

가난한 뭄바이 아버지를 보며 떠올린 ‘우리들의 아버지’

땀을 바가지로 흘리며 목적지인 뭄바이역에 도착한 사이클 릭샤 기사가 “50루피만 주세요”라고 말했다. 한국 돈으로 1천 원이 되지 않는 금액. 그 돈이면 채소를 넣어 끓인 묽은 커리에 찰기 하나 없는 밥 한 주걱을 사먹을 수 있을 터였다. 인도에서라면 많지도 적지도 않은 차비.

갑작스레 진원지 불분명한 슬픔에 휩싸여 100루피를 내밀었고 “잔돈은 필요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뜻밖에 얻은 조그만 돈에도 터무니없이 기뻐하는 사이클 릭샤 기사의 웃음에 괜스레 미안해졌다.

한국에서라면 커피 한 잔도 마시지 못할 100루피짜리 지폐를 받아든 그가 수차례 기자에게 고개를 조아리며 인사를 전한 뒤 다른 손님을 태운 채 시야에서 사라지고 있었다. 땀에 젖은 낡은 셔츠와 새까맣고 야윈 다리. 아, 이상스레 눈물이 날 것만 같았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가난한 아버지’가 냉혹한 세상을 버티는 방식은 인도나 한국, 미국이나 프랑스가 다를 바 없을 터. 그들의 희생과 ‘뜨거운 포옹’이 아들과 딸을 키웠다. 그게 세상 어느 나라라고 다를까?

20대에서 30대로 건너가던 무렵. 아버지를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졸시를 썼다. 지금 보면 부끄러운 문장일지라도.

아버지꽃

아이는 울며 돌아왔다
다그치는 나에게 학교 안 동백나무가 베어졌다는
의외의 대답
망연자실, 묵묵부답
먼 진원지에서 서러움이 괘종시계처럼
똑딱거렸다
아·버·지

눈썹에 이슬 맺히는
자욱했던 물안개길
불 맞아 웅크린 짐승의 눈빛으로
선홍색 동백은 점점이 반짝였다

눈물 덜 마른 얼굴로 잠든
꽃 그림의 셔츠만 찾는
기르는 고양이와도 얘기를 나누는
식물 같은 아이
나의 아이

세상 젤 서러운 꽃이라던
잠시 한눈이라도 팔라치면
시샘하듯 목을 꺾는 생명 같은
어린 목숨 같은 꽃이라던 동백
아버지는 흩어진 생명
목숨의 조각들로 목걸이 만들어
날 무등 태웠다

아이의 꿈속에서 나무는 살아날까
평화로운 잠으로 가고 싶건만
다시 아기가 된 아버지의 응석에
모조청자는 푸른 비명으로 깨어지고

아버지
당신 닮은 저 아이는
저 아이의 아버지인
나는.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사진제공/류태규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