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학주한동대 교수
▲ 김학주한동대 교수

미-중간 무역갈등으로 인해 한국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그러면 우리나라 경제는 내수에 의지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이미 한국 내수는 죽었기 때문이다.

사실 내수 소비는 그 나라의 인구구조가 결정한다. 우리나라는 IMF사태를 지나며 출산율 관리를 잘못했다. 출산율은 가임여성 한 사람당 신생아 출산 수로 정의되는데 1인당 2명은 출산해야 정상일 것이다. IMF사태 이전에는 출산율이 2명을 상회했었는데 어려운 시기를 지나면서 급락했다. 그 후유증으로 지금 가임여성 수 자체가 줄고 있는 것이 문제다. 앞으로도 절망적이라는 이야기다. 한국은 2016년 출산율이 1인당 1.17명으로 집계됐는데 지금은 더 낮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선진국도 비슷한 문제를 겪었지만 1.2명선에서 여러 지원책을 통해 추가 하락을 방어했던 반면 한국은 뚫린 셈이다. 향후 1명 미만으로 흘러내릴 가능성도 있다. 그 만큼 인구노령화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빚을 내면서까지 소비할 수 있는 의향을 지닌 사람들은 젊은이다. 그 젊은 계층이 얇아지고 있다는 사실이 한국의 내수 기반을 흔들고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급격히 가격에 민감해지고 있다. 일본도 90년대 이후 이런 현상이 있었다. 그 후 20년간 제품가격 하락이 진행됐었다. 한국의 내수주가 이익의 안정성 덕분에 과거 배당가치주로 환영 받았는데 이제는 그 프리미엄이 소멸될 것이다.

이렇게 수출과 내수 모두 어려워지면 정부입장에서는 부의 재분배 정책에 더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최근 최저임금 인상과 관련해서 많은 논란이 있었다. 사실 세계적으로도 저성장에 따른 고통 때문에 부의 재분배에 더 많은 고민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므로 최저임금 인상은 전반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다만 한국정부는 시장원리를 무시한 채 최저임금을 너무 급격히 올려 부작용을 만들었다. 급진이라는 것은 실수가 많다는 약점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시사점을 찾아 보자. 한국에서 혼자 사는 사람들이 급격히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가정간편식이 기대만큼 크게 확산되지는 못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에 저렴한 배달음식이 발달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저임금이 이렇게 가파르게 오르면 배달을 바탕으로 한 자영업 음식점이 위축되어 가정간편식이 반사이익을 볼 수 있으므로 관련 수혜주들을 찾아 볼 필요가 있다. 최저임금으로 인해 편의점 주인들도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그 동안 점포 수가 증가하며 편의점 운영 수익률이 떨어졌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빚을 내서 여러 점포를 운영했던 분들도 많다. 그런데 최저임금이 상승하여 단위당 점포 수익성이 적자로 돌아섰고, 점포 수만큼 적자가 확대됐다. 편의점포가 힘들어지면 편의점 본사도 힘들어진다. 본사에서 점포에 시설투자를 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편의점 관련 업체 주가도 급락했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악화되는 편의점 수익률을 회복할 수 있는 첫째 방법은 단위지역당 편의점 수 축소지만 이런 투자 때문에 그러기도 쉽지 않다. 다른 방편은 편의점의 고도화다. 즉 부가가치가 높은 품목의 판매로 이동하는 것이다. 일본 편의점의 경우 면적이 우리나라 점포보다 크다. 그리고 그 안에는 소비자의 구미를 당길 수 있는 다양한 시설들이 들어가 있다.

과연 한국의 편의점이 일본을 따라갈 수 있을까? 여기에 회의적이다. 왜냐하면 일본 자체가 수요를 창조하는 마케팅에 익숙한 반면 한국은 생소하다. 그리고 일본의 편의점은 세븐일레븐 위주로 재편되어 이런 고부가 전략을 주도적으로 끌고갈 수 있지만 한국은 아직 경쟁이 끝나지 않았다.

결국 한국의 편의점 업체는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해법을 제대로 찾지 못할 것이다. 즉, 그 수익성의 하락이 얼마나 깊어질지 모르므로 주가가 급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저점매집에 나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