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그단스크에서 크라쿠프로 가는 기차안이다. 지나쳐 온 바르샤바에서는 쇼팽 기념관에 갔었다. 그는 마흔 살도 되지 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는데, 그의 심장은 고국으로 운반되어 성 십자가 교회에 안치되었다고 했다. 폴란드 사람들은 그를 너무나 사랑하는 것 같았다. 거리에는 쇼팽의 음악이 흘러 넘친다. 한국의 KTX 비슷한 EIP가 바르샤바 역에 다가갈 때면 우리가 민요를 들려주듯 쇼팽의‘야상곡’이 들린다.

이 나라는 국토의 90퍼센트가 평원이라고 했다. 지금 EIP는 세 시간째 산 없는 들판 사이를 가로지르고 있다. 이렇게 평지투성이라면 외적을 막아내기도 몹시나 힘들었을 것이다. 그단스크는 시가지가 세계제2차대전 때 파괴되는 바람에 ‘전부’ 전후에 그림, 사진을 보고 복구했다고 했다. 그단스크 올리바 역 바로 옆에 있는 공원은 중세 때부터 조성해 온 모습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했다. 무릇 파괴되지 않는 것, 오래 가는 것은 나쁘지 않다.

크라쿠프 근처에는 악명 높은 아우슈비츠 수용소가 있다. 겨울에 조르조 아감벤 책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을 감명 깊게 읽었었다. 그때 나치 장교가 수용된 유태인들에게 말했단다. 너희들의 소식은 세상에 알려지지 않을 것이다. 알려진다 해도 사람들은 사실이라 믿지 않을 것이다. 그래도 프리모 레비라는 이탈리아계 유태인 작가가 살아남아 문학으로 자신이 겪고 보고 들은 것을 남겼다. 아감벤은 거기서 인간의 새로운, ‘최저’ 윤리학을 구축했다.

태평양 전쟁 때 성노예로 동원된 위안부 할머니들이 자신들이 당한 일을 말하자 일본 정부는 국가가 직접 시행한 그런 일은 없다 했다. 한국의 어떤 사람이 그를 ‘뒷받침’하는 책을 내자, 한 시절을 한다 하던 사람들이 조심성 없이 박수를 쳤다. 기가 막힐 노릇이다. 세상에 기가 막히는 일은 옛날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위안부 할머니들이 겪은 일이 아우슈비츠처럼 ‘비밀’로, 없던 일로 간주되듯, 오늘날의 수용소들도 불문에 부쳐지려 한다.

지동설을 주창한 코페르니쿠스는 폴란드 사람이었다. 한국에 오셔서 땅에 입을 맞추시며 평화를 기원해 주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도 폴란드 사람이었다. 그단스크에서 바르샤바로 올 때보다 크라쿠프로 가는 길은 더 평평해 보인다. EIP에서는 커피를 무료로 서비스해 준다. 공항에서 바르샤바 시내로 들어올 때는 버스표 때문에 값비싼 수업료를 물었건만.

요즘에는 파스칼의‘팡세’를 읽는다. 짧은 문장들로 이루어져 있어 흔들리는 차안에서 읽기 좋다. 파스칼은 보통 사람이 아니었지만 신에 의한 구원을 간절히 찾았던 사람이었다. 그의 문장 한둘을 잠깐 여기에 옮긴다.

110. 세 접대자 영국 왕, 폴란드 왕, 스웨덴 여왕과 가까이 지냈던 사람이라면 이 세상에 은신처나 피난처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였겠는가.

120. 자기 자신을 알아야 한다. 이것이 진실을 찾는데 유용하지 않다면 적어도 자신의 삶을 규제하는 데는 유용하다. 이보다 더 옳은 일은 없다.

폴란드에 와 있다. 하지만 폴란드 왕을 모르는 사람은 자기의 삶을, 말을 규제해야 한다. 늘 그러하지 못했지만 말이다. 눈만은 그래도 똑바로 떠야 한다. 이제 크라쿠프 쪽은 땅이 높아졌다. 아우슈비츠가 가까워지고 있다.

/방민호<서울대 국문과 교수> /삽화 = 이철진<한국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