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예술이 꽃 피는 포항으로

▲ 2천여 명의 관객들이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을 가득 채우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수도 비엔나.

“아름답다”고 말할 수밖에 다른 표현을 떠올릴 수 없는 올드타운(Oldtown·옛날 도심). 그 가운데 자리한 칼스플라츠(Karlsplatz) 지하철역을 빠져나오면 137m의 아찔한 높이로 도시의 랜드마크가 된 슈테판성당(Stephansdom)이 보인다.

거기서부터 시작되는 케른트너 거리(Kerntner Street). 0.6km를 직선으로 이어지는 좁은 도로 양 옆으로 예쁘게 꾸민 카페와 식당이 즐비하고, 구스타프 클림트와 에곤 실레의 그림을 도자기와 티셔츠에 새겨 넣은 기념품점들이 가득하다.

해마다 유럽과 북미, 남미와 아시아 관광객 수백 만 명이 찾는 곳. ‘지구 위 인종 전시장’을 방불케 하는 그 길의 끝에 ‘무언가’ 있다.

구구절절 설명해주지 않아도 그곳이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Wiener Staatsoper)’이라는 건 누구나 알게 된다. 왜냐? 건물의 사방을 둘러싸고 카메라 셔터를 눌러대는 수많은 여행자들 때문이다.

사실 오스트리아는 우리가 ‘클래식’이라 부르는 음악이 탄생한 곳이라 불러도 무방한 나라다. 초등학생도 그 이름은 알고 있는 모차르트, 슈베르트, 요한 스트라우스, 하이든 등이 태어난 곳이 바로 오스트리아.

뿐 아니다. 비엔나는 베토벤과 브람스가 수백 년 시간을 뛰어넘어 오늘날까지 연주되는 ‘불멸’에 가까운 곡을 만들기 위해 오랜 시간 머물렀던 도시다. 그런 역사가 있으니 그곳에 ‘세계 최고의 공연장’이 있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

1869년 객석 2천여석의 극장 완공
1년에 300회 가까운 공연 열리고
다양한 가격대 입장료에 입석까지
예술을 원하는 사람에 차별없어


글 싣는 순서

1. 포항에선 어떤 문화예술 공연이…
2. 비엔나 국립 오페라하우스를 가다
3. 비엔나 공연예술가와 관객들
4. 젊음 넘치는 ‘서울 홍대거리’ 공연문화
5. 다양한 공연이 펼쳐지는 포항으로

▲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의 계단은 예술품에 가깝다.
▲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의 계단은 예술품에 가깝다.

◆ 부자와 가난한 사람을 함께 포용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은 클래식 공연과 더불어 관악과 현악, 타악과 노래까지 결합된 종합예술인 ‘오페라의 메카’라고 부를만한 공간이다.

19세기 후반. 오스트리아는 옛 도심의 성벽을 부수고 말의 발굽 모양과 유사한 커다란 순환도로를 만든다.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은 이때 국회의사당, 시청, 몇몇 미술관과 함께 조성됐다. 극장이 완성된 것은 1869년. 완공 기념으로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Don Giovanni)’가 공연됐다. 객석은 그때나 지금이나 2천여 석에 가깝다.

클래식에 무지한 사람이라도 풍문을 통해 한 번은 들어봤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등이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의 음악감독으로 활동했다. 그렇기에 무언가를 규정짓기 좋아하는 호사가들은 밀라노의 라 스칼라(La Scala),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하우스(Metropolitan Opera House)와 더불어 이 극장을 ‘세계 3대 오페라극장’이라 부른다.

네오 르네상스 양식과 고딕 양식이 결합된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은 외부와 내부가 모두 아름답다.

극장으로 들어가는 계단 위에 달린 무지막지하게 큰 샹들리에와 보석처럼 반짝이는 로비의 바닥, 짙은 붉은색 관객석과 황금빛으로 장식된 천장화, 거기에 예전엔 왕이나 왕비, 공작과 후작, 백작이나 남작만이 앉을 수 있었다는 멋들어진 발코니까지.

그러나 1년에 300회 가까운 오페라와 클래식 공연이 열리는 이 극장은 이제 ‘선택받은 사람들만을 위한 곳’이 아니다. 사실 100년 전만 해도 왕족·귀족과 평민은 좌석만이 아니라 출입구까지 따로 사용했다. 물론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의 비싼 좌석은 현재도 300유로(한화 약 37만원)에 육박한다. 하지만 “돈이 부족해 좋은 공연을 보지 못하는 사람은 없어야 한다”는 오스트리아의 선진적 문화마인드가 3유로(3천700원)짜리 입석을 만들어냈다.

힘들겠지만 두어 시간 동안 서서 모차르트의 음악을 듣거나, 베르디의 오페라를 보겠다는 의지만 있다면 누구나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의 ‘귀한 관객’이 될 수 있다.

▲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 합창단에서 테너로 활동 중인 송원철 씨.
▲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 합창단에서 테너로 활동 중인 송원철 씨.

◆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의 비하인드 스토리

사실 오스트리아를 방문한 건 2011년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였다. 첫 여행에선 건물의 외부만을 구경했을 뿐 극장 안으로 들어 가보지 못했다. 그러나 이번엔 운이 좋았다. 지인이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 합창단에서 테너로 활동 중인 송원철(49)씨를 소개시켜줬다. 대구에서 태어난 테너 송원철은 대학 졸업 후 10년 가량 서울시립합창단에서 활동하다가 ‘보다 큰 꿈을 꿀 수 있는 유럽 무대로 가고 싶다’는 열망에 독일 뉘른베르크를 향했다. 그곳에서 열정을 펼치던 송씨가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 합창단 테너가 된 것은 2012년 9월.

그의 안내로 극장 무대에 오르는 출연자들만이 오갈 수 있는 복도와 대기실, 연습실과 무대 뒤편까지를 두루 돌아볼 수 있었다. 바쁜 일정임에도 2시간 이상을 기자에게 내준 테너 송원철과 함께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 구석구석을 꼼꼼하게 살폈다. 그의 안내와 설명을 통해 흥미로운 사실을 적지 않게 알게 됐다.

▲ 케른트너 거리에 아름답고 웅장하게 세워진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
▲ 케른트너 거리에 아름답고 웅장하게 세워진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 지하에는 거대한 터널이 뚫려 있어 에어컨이 없던 시절 여름에도 객석이 그다지 무덥지 않았다는 것, 19세기엔 남성과 여성의 구별이 엄격했던 탓에 남녀 가수와 배우들의 대기실과 연습실이 건물의 정반대 방향에 자리해 있었다는 것, 150년 전에 설계됐음에도 무대에서 객석으로는 소리가 잘 전달되지만, 객석에서는 어지간히 크게 떠들어도 그 소리가 무대에선 들리지 않는다는 것, 거대한 파이프 오르간은 극장 맨 위층에 은밀하게 숨겨져 있다는 것, 관객이 볼 수 있는 무대보다 2~3배는 더 큰 출연자와 스태프들의 공간이 극장 빨간 장막 뒤에 존재한다는 것 등….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이 지닌 ‘하드웨어’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한 후 테너 송원철과 극장 내에 자리한 휴게실에 마주 앉았다. 이제 ‘소프트웨어’에 관해 질문할 시간. 아니, 그보다 먼저 그에 대한 궁금증을 풀고 싶었다.

“왜 서울시립합창단과 독일에서의 솔리스트(Solist) 활동을 접고 이곳의 합창단원이 됐느냐”고 물었다. 생활과 예술 사이에서 고민한 사람의 진솔한 대답이 돌아왔다.

“사람에겐 명예가 중요하지요. 하지만 저는 가족이 더 소중하다고 봅니다.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보니 1~2년 단위로 계약을 갱신해야 하는 시스템이 힘들었어요. 내가 정말 원하는 건 명예가 아니라 평생 노래하는 겁니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노래할 수 있는 곳을 찾았습니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이 극장 합창단이죠. 좋은 인프라와 누구나 인정하는 높은 수준도 비엔나를 찾은 이유겠지요.”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은 합창단원, 발레단원, 배우 등 300여 명의 예술가를 월급 주며 고용하고 있다. 한 사람만 벌어도 가족 모두가 어렵지 않게 생활할 정도로 금액도 박하지 않다.

테너 송원철은 여기서 정년까지 활동할 수 있는 계약을 이미 마쳤다. ‘생활은 우리가 책임질 테니 당신들은 노래와 춤, 연기에 집중해 극장을 찾는 관객들에게 행복감을 주시오’라는 문화·경제적 약속을 흔쾌히 맺어준 것이다.

그런 편안함 속에서 노래를 연습하고, 무대에 오르기 때문일까? 송씨는 우스개에도 인색하지 않았다.

“독일에 있을 때도 그랬지만 여기서도 유럽 극장 관계자들이 물어요. ‘한국 사람들은 왜 그렇게 다들 노래를 잘 하는가? 김치 때문인가’라고요.(웃음)”

▲ 미려한 장식물이 곳곳에 자리한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 내부.
▲ 미려한 장식물이 곳곳에 자리한 비엔나 국립 오페라극장 내부.

◆ 비엔나가 가진 ‘문화·예술적 힘’은 어디서…

“독일엔 인구가 2만 명 이상인 도시엔 클래식과 오페라를 공연하는 극장이 반드시 있어요. 놀라운 것은 그 극장마다 1명 이상의 한국 성악가가 활동하고 있다는 겁니다”라고 말하는 테너 송원철에게 마지막 물음을 던졌다.

유럽, 그 중에서도 오스트리아 비엔나가 ‘공연예술의 본향(本鄕)’으로 불리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그의 견해가 궁금했다. 주저함의 시간 없이 현답이 나왔다.

“이곳엔 수백 년 이상 체화된 클래식에 대한 지식과 문화가 있어요. 그것들이 공연예술에 대한 이해로 나타나는 거지요. 거기에다 이곳 사람들은 오페라 한 편을 보러올 때도 많은 공부를 하고 옵니다. 한국의 문화공연 관계자와 관객들에게 한마디 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이 말만은 꼭 해드리고 싶습니다. 예술에서 중요한 것은 ‘그럴듯한 흉내’가 아니라 ‘노력 속에서 얻어지는 이해’라고요.”

취재와 인터뷰가 끝났다. 예술가의 혜안과 안내자의 꼼꼼함을 동시에 보여준 테너 송원철에게 고마움을 표하고 싶었다.

그 순간, 드라마틱한 목소리로 수만 관객을 사로잡았던 마리오 델 모나코(Mario del Monaco)와 송씨가 학생 때부터 흠모했다는 플라시도 도밍고(Placido Domingo)가 떠올랐다.

남성이 낼 수 있는 가장 높은 음역으로 노래하는 테너. 우리는 그들을 “청각적 행복을 위해 신이 인간에게 내려준 선물”이라고 말한다. 송원철 테너가 모나코나 도밍고처럼 ‘최고의 테너’가 되기를 빌었다. 그건 부정할 수 없는 진심이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지원을 받아 작성된 것입니다.

글/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사진제공/Wiener Staatsoper·Michael Poehn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