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다니네`
조용호 지음·민음사 펴냄
소설·1만2천원

조용호(56)의 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어둠이 장악한 인적 없는 강변을 홀로 서성이는 것처럼 쓸쓸하고 외로운 일이다. 터무니없는 생기발랄과 냉소, 엉터리 문장과 조악한 문체가 부끄러움 없이 횡행하는 21세기 한국문단. 조용호는 오늘도 그 속에서 홀로 고군분투 중이다.

2006년 봄부터 2011년 가을까지 여러 문예지에 발표된 7개의 단편. 그것들은 어두운 강물이 일렁이는 표지 안에 발표 순서대로 조용히 줄을 서있다. 생성과 소멸, 외로움과 버릴 수 없는 희망, 떠남과 돌아옴에 관한 조용호의 작품들. 다음과 같은 문장은 마치 오래 암송돼온 시(詩)처럼 독자들의 가슴을 흔든다.

`나일강에 해가 진다.

종려나무 잎사귀들이 암록으로 어두워진다.

모래언덕은 석양에 붉고, 강물은 소리 없이 푸르다.

4천 년 전 이맘때도 저 언덕은 오늘처럼 어김없이 붉었을 것이다.`

-위의 책 중 `달과 오벨리스크` 일부 인용.

이처럼 곳곳이 시적인 문장으로 축조된 조용호의 3번째 소설집 `떠다니네`에 수록된 작품들은 더하거나 덜어낼 것이 없다.

가브리엘 마르케스의 `판타지 리얼리즘` 향기가 물씬 풍기는 `푸른바다거북과 놀다`는 마지막 대목이 사람들의 가슴을 서늘하게 하고, 책의 서막을 여는 `모란무늬코끼리향로`는 오페라 `카르멘`의 주제 “지독한 사랑은 파멸이다”를 소설적으로 완성도 높게 변주해냈다.

이 소설집의 백미는 누가 뭐라 해도 연작소설로 읽히는 `베인테 아뇨스`와 `신천옹`이다. 이 두 작품엔 조용호가 시종여일하게 지향해온 `정주(定住)와 유랑은 결국 하나의 것`이란 차갑고 우울한 세계인식이 가장 잘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어떤 이유로 인해 아내와 헤어져 혼자 사는 프리랜서 사진작가, 누군가 몰래 들어온 흔적이 역력한 집, 히스테리를 반복하는 여자친구, 썩지 않은 할머니의 시체, 세상사에 초연한 늙은 수녀, 말기 암 환자가 되어서야 다시 만나게 된 전처…(베인테 아뇨스)

동생들과 처자식 때문에 평생 한 번도 자신의 뜻대로 살아보지 못한 중소기업 간부, 살벌한 내용의 붉은 글씨 가득한 도심의 철거민촌, 히말라야 트래킹에서 만난 상처투성이 여자, `바람을 타고 바람을 희롱한다는 새` 앨버트로스가 산다는 남극 인근 캠벨섬, 상상을 뛰어넘으며 거칠게 요동치는 얼음의 바다, 갑작스레 사라져버린 친구…(신천옹)

위에서 서술한 것들을 재료로 `세상사 가장 쓸쓸한 이야기`를 만들어낸 조용호. 이 지면에서 굳이 줄거리를 구구절절 상세하게 늘어놓지 않는 이유는 조용호가 던져놓은 퍼즐조각을 맞춰가는 즐거움을 소설의 독자들에게서 뺏고 싶지 않아서이다. 책의 마지막. `작가의 말`을 통해 조용호는 이런 이야기를 들려준다.

 

▲ 소설가 조용호씨.
▲ 소설가 조용호씨.

“몸이 뿌리를 내려도 마음은 떠돈다. 붙박였다고 갇힌 게 아니고, 떠난다고 늘 자유로운 건 아니다.”

이 문장은 불혹의 가시밭길을 지나 가까스로 지천명의 강을 건너 이순을 향해 가고 있는 조용호의 철학적이고 문학적인 깨달음에 다름 아닌 것으로 읽힌다. 맞다. 영원히 머물거나, 영원히 떠날 수 있는 사람은 세상에 없다. 비단 소설가 조용호만이 아닌 우리 모두가 그렇다.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