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황석영 지음문학동네·산문집

▲ 소설가 황석영
▲ 소설가 황석영

한국문학계의 거장 소설가 황석영(74)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본 자전(自傳)적 에세이 `수인`(문학동네)을 펴냈다.

`수인`은 작가가 2004년 중앙일보에 연재한 자전적 장편 소설 `들판에 서서 마을을 보네`를 대폭 개작하고 보탠 것이다.

원고지 4천매, 책으로 두 권 분량에 베트남전 참전부터 5·18 광주민주화운동, 방북 후 탈옥 등 한국 현대사를 관통해온 작가의 삶과 사유를 털어놓는다.

현대사의 숱한 굴곡과 파란을 누구보다 치열하게 겪어온 그가 자신이 지나온 파란만장한 삶, 자유를 위해 `시대의 억압`과 맞서온 불꽃같은 여정을 생생한 필치로 증언한다.

1943년 만주 창춘(長春)에서 태어난 황석영은 평양 외가를 거쳐 1947년 월남, 서울 영등포에 정착했다. 1962년 단편 `입석 부근`으로 사상계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문단에 이름을 알린 작가는 1966년 해병대에 입대하고 베트남전쟁에 파병된다. 참전 경험은 장편 `무기의 그늘`(1988)의 토대가 된다.

이후 작가의 길로 들어선 그는 유신독재의 어둠에 맞서 동료들과 함께 저항하다 5·18 광주항쟁을 맞았고, 광주의 진실을 알리는 데 앞장섰다. 그리고 1989년,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초청으로 방북한 황석영은 독일·미국 등지를 떠돌다가 1993년 4월 귀국 직후 체포됐다. 그는 징역 7년형을 선고받고 1998년 3월까지 옥살이를 했다.

책은 1993년 작가가 방북과 뒤이은 망명생활을 마치고 귀국하자마자 곧바로 안기부에 끌려가 수사관들에게 취조를 당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이후 이야기는 감옥 안에서 보낸 5년의 시간과 유년부터 망명 시절까지의 생애, 두 시간대가 교차하며 진행된다. 그리고 감옥 바깥의 시간은 다시 순서를 달리해, 1985년 광주항쟁 기록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를 출판한 후 처음으로 한반도를 벗어나 바깥 세계를 경험한 뒤 민주화운동과 방북, 망명, 구속에 이르기까지의 시기를 먼저 이야기한 다음, 시간을 거슬러 가족과 함께 월남한 다섯 살 무렵으로 돌아가 한국전쟁과 4·19, 베트남전쟁을 겪고 작가의 길로 들어서서 5·18 광주항쟁을 맞기까지의 기억을 되짚어나간다.

감옥 안의 시간과 바깥의 시간을 나누는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수인`은 마치 감옥에 갇혀 있는 작가가 좁은 감방 안에서 지금까지의 생애를 간절히 더듬어보는 듯도 하고, 또는 현실의 시간 가운데로 불쑥불쑥 감옥에서의 장면들이 꿈처럼 끼어드는 것처럼도 느껴진다. 이를 통해 작가의 삶은 단순히 시간순으로 나열되는 대신 방북과 망명, 투옥이라는 결정적 계기들을 중심으로 재배치돼 더 깊은 의미를 얻는다.

무엇보다 그의 삶의 커다란 분수령이 된 5년간의 수인의 삶. 작가에게 굴종을 강요하는 시대의 감옥 안에서 그는 무엇을 겪었고 무엇을 생각했을까. 스스로 시대를 짊어지고자 했던 작가에게 감옥이란 무엇이며, 경계를 넘어서고자 한 작가의 자유로운 정신을 가두고자 한 시대란 또 어떤 것이었을까. 그는 말한다. “시간의 감옥, 언어의 감옥, 냉전의 박물관과도 같은 분단된 한반도라는 감옥에서 작가로서 살아온 내가 갈망했던 자유란 얼마나 위태로운 것이었던가. 이 책의 제목이 `수인(囚人)`이 된 이유가 그것이다”라고.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